[폴앤톡] 가장 불공정한 언론사는 어디일까?
해당 이미지는 본 설문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연합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비판적 언론은 권력과 자본을 감시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비판적 시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민주주의의 핵심 요소로, 권력의 남용을 방지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합니다.
그러나 과거부터 최근까지 언론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본지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주요 언론사별 공정성에 대한 인식 조사와 문제점을 분석해 더 나은 미디어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이 더 나은 언론 환경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Poll&Talk 진행 중인 Poll
관련 기사
[폴플러스] 투자자 10명 중 9명,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 보호 위해 상법 개정은 필수"
2[폴플러스] 10명 중 8명, 내년 시행 예정인 비둘기 먹이 금지법에 '반대'
3[폴플러스] 초등교사 10명 중 8명, 학교관리자 '갑질' 경험
4[폴플러스] 10명 중 8명, 탈시설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반대'
5[폴플러스] 10명 중 9명은 "금투세 폐지해야"..."개인 투자자 이탈 유발할 것"
6[폴플러스]유아특수교사 10명 중 8명, 유보통합 실행 계획안 '매우 불만족'
7[폴플러스] “우리의 목을 조르는 법안”… 참여자 90.95%, 서울시 탈시설 조례안 폐지에 찬성
8[폴플러스]참여자 10명중 8명, '학생인권특별법 발의 반대'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