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3%→2.75% 인하...배경은?
▷물가 상승률 안정세·국제 경제 상황 등 영향
▷"향후 통화정책, 대내외 경제 정책 등 면밀히 검토"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금융통화위원회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행 3.00%에서 2.75%로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성장률 하락 전망 속 경기 부양 조치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금통위는 25일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0.25%p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지난 22년 10월(2.5%) 이후 2년 4개월만에 기준금리 2% 시대가 다시 열린 셈이다.
◇기준금리 인하 배경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인하한 배경에는 물가 상승률 안정세가 자리잡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1월중 2.2%로 높아졌다. 하지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1.9%로 안정세를 이어갔다. 통상 근원물가 상승률은 가격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이 제외되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경제흐름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월 중 2.7%로 소폭 하락했다.
향후 물가 상승률에 대해서는 "환율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낮은 수요압력 등 영향으로 2% 내외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제 경제 상황도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되면서 미 달러화 강세가 일부 주춤하는 모습이 나타났다"며 "주요국 장기 국채금리 역시 하락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에서 안정 신호가 포착됐다"고 말했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대내외 경제 정책과 국내 정치 상황의 변화를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의 금리 인하가 물가와 성장,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와 속도를 조정해 나갈 방침이다.
댓글 2개
관련 기사
국내 경제학자 100인의 올해 성장률 전망 '1.6%'
2이복현 "기준금리 인하 지연...모든 리스크 철저히 대비해야"
3금융시장 불안에도 한은, "복원력 양호한 수준"
4[금쪽이]미국 금리 인하 조정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5"엔화 강세 주의, 우리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클 수 있어"
6연준, 금리 0.25%p 인하...3연속 내림세
7"트럼프 2기, 관세 공약 완전한 이행 어려울 것"
8美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7%... '주거비' 안정화 추세
910월말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 0.48%
10경제수장들 "대내외 불확실성 여전...금융·외환시장 24시간 모니터링 지속"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