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재명 표 배드뱅크 "실질적 회생과 경제복귀 중심 둬야"
▷지난 12일 유순덕 사단법인 롤링주빌리 상임이사와 인터뷰
▷캠코, 회생 아닌 회수에 집중...배드뱅크 본래 취지 퇴색
▷새 정부 배드뱅크 "채권 일괄소각해 채무자 회생 지원해야"
![[인터뷰] 이재명 표 배드뱅크 "실질적 회생과 경제복귀 중심 둬야"](/upload/3a017b5244f24e1fa1c85e18c5945d16.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이번 정부의 배드뱅크가 과거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단순 빚 탕감이 아닌 실질적 회생과 경제 복귀에 중심을 둔 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유순덕 사단법인 롤링주빌리 상임이사는 이재명 표 배드뱅크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으로 내건 배드뱅크 사업은 과거부터 꾸준히 추진돼왔다. 하지만 금융취약계층의 회생을 지원한다는 본래 도입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배드뱅크 설립과 운영을 담당하는 핵심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채무자의 회생보다 채권 회수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례로 이번 정부가 과거 방식을 그대로 답습 할 경우, 채무자의 실질적 재기를 내세운 본래의 사업 목표가 왜곡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 12일 유 상임이사를 만나 배드뱅크 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물었다.
◇캠코, 회생 아닌 회수에 집중...배드뱅크 본래 취지 퇴색
유 상임이사는 과거 캠코의 배드뱅크 운영 방식에 대해 "채무자의 빈곤을 벗어나는 순간을 기다렸다가 추심을 시작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실제 캠코는 장기연체 채권 매입 후 20~30년 간 보관하다 채무자가 경제활동이 가능해지는 시점에 추심을 재기해왔다. 이들이 옛 배드뱅크에서 인수받아 추심을 한 채권은 한마음금융·희망모아·신용회복기금·국민행복기금 등이다. 이 중 가장 오래된 채권은 한마음금융으로 캠코가 지난 2004년 5월에 매입했다.
유 상임이사는 이런 방식이 채무자의 회생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근로를 시작하는 즉시 추심을 재개하는 탓에 채무자들이 두려움 속에 탈수급을 포기하거나 근로를 단념하는 악순환에 빠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과거 IMF 당시 한마음금융에서 대출을 받은 한 남자의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당시 청년이었던 그분이 시간이 흘러 노년기에 접어든 지금까지도 지속적인 추심과 압류 조치로 정상적인 활동이 어렵다"며 "이런 분들 대부분이 주거 마련 등 일상적 기반이 흔들리면서 일용직을 전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새 정부 배드뱅크 "채권 일괄소각해 채무자 회생 지원해야"
새 정부의 배드뱅크가 과거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실직적 회생과 경제 회복에 중심을 둔 정책으로의 근본적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는 게 유 상임 이사의 견해다. 그는 "빚 때문에 일하지 못했던 사람이 다시 일할 수 있다록 돕는 것이야말로 이번 정부의 배드뱅크 사업이 지향해야 할 핵심"이라며 "채무자 감면은 일하지 않는 자에게 주는 면제가 아니라 일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다시 사회로 나올 기회를 주는 수단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 상임이사는 이를 위해 확인된 대상자에 한해 채권을 매입한 뒤 일괄 소각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그는 "불필요한 채권 보관이나 장기 추심을 방지하고 채무자의 회생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공공정책적 해법"이라며 "더 이상 회생을 가로막는 추심 위주의 방식은 반복되어선 안된다"고 말했다.
◇"도덕적 해이보다 더 큰 사회적 비용이 문제"
일각에서 채무를 탕감해 주는 정책이 채무자들에게 도덕적 해이를 야기할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유 상임이사는 "일부 그런 사례가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이 계속해서 채무불이행자 상태에 머물게 되면 근로 시장에 진입하지 못해 나중엔 국가가 부양해야 할 대상으로 전락해 더 큰 사회적 비용이 들 것"이라고 반박했다.
끝으로 "이번 배드뱅크는 단순한 '복지성 채무감면'이 아닌 생산 가능 인구의 경제활동 복귀를 지원하는 생산 복귀형 채무조정으로 설계돼야 한다"며 "그래야만 국가 재정도 국민의 삶도 함께 회복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배드뱅크
배드뱅크는 금융사들이 회수하지 못한 장기 연체 대출, 즉 떼일 수도 있는 돈을 받을 권리를 일종의 채권으로 싸게 사들이고 일부 소각해 소액 장기 연체자들의 회생을 돕는 전문기관이다. 배드뱅크 설립은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공약한 내용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7년 이상 연체된 5000만원 이하의 무담보 빚을 진 개인을 대상으로 한다. 관련 재원 8000억원 가운데 절반(4000억원)은 금융권 출연으로 조달할 예정이다.
댓글 0개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