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2

서울 한 은행에 주택담보대출 금리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

장기고정금리 주담대, 왜 지금 필요한가?

▷고정금리 유형 주담대 비중 낮아...전체 2.5% ▷금리변동 리스크 완화 등 차주 입장서 유리 ▷전문가 "비중 증가를 위한 정책을 검토해야"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5.03.10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금리인하 전망에 채권 투자 꾸준... 투자자 유의사항은?

▷ 오는 9월 美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채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 ↑ ▷ 채권, 무조건 안정적인 투자처는 아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 변동 위험 내포

경제 > 증권    |   김영진 기자    |   2024.08.19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일본, 17년 만 금리인상...증권가 "당분간 엔화약세"

▷BOJ 단기 기준금리 0~0.1%로 인상

경제 > 증권    |   류으뜸 기자    |   2024.03.20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출처 = 금융위원회)

대출한도 3.3억에서 3.15억 원으로 ↓... '스트레스 DSR 제도' 도입

▷ DSR에 '스트레스 금리' 오는 6개월간 0.38% 가산 ▷ 금융위원회, "가계부채 증가율, 경상 GDP 증가율 내에서 관리 목표"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26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16년 만에 새로이 문 연 '30년 국채선물시장'

▷ 3년, 5년, 10년에 이어 30년 국채선물시장 문 열어 ▷ "세계국채지수 편입하면 30년 국채선물시장 긍정적인 역할할 것"

경제 > 금융    |   김영진 기자    |   2024.02.19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지난 1월, 주요국 국채금리 오르는 가운데 증시는 순항 중

▷ 美 국채금리 변동성 속에서 상승세 ▷ 중국을 제외한 선진국, 신흥국 증시 상승세.. '튀르키예' 돋보여 ▷ 국내 증시는 상대적으로 부진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13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의견 분분한 '횡재세'... 도입되야 할까

▷ 지난 11월 14일,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 발의 ▷ '상생금융 기여금의 부과' 조항 신설 ▷ 단기적인 횡재세 도입 필요성과 함께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경제 > 금융    |   김영진 기자    |   2023.12.1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내일부터 시중은행 주담대 변동금리 올라..."취약부문 신용위험 대비"

▷0.16% 상승...코픽스가 석 달 만에 반등한 탓 ▷"취약계층의 부실위험과 자산건정성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 높아"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3.10.17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은행 성과급 잔치 논란…정부 대책은?

▷4대 은행 2년 전과 비교해 이자순수익 34% 증가 ▷정부, ‘금리정보 공시제도 개선방안’ 등 발표 ▷”금융소비자 보호 및 은행 경쟁력 강화 함께 도모해야”

경제 > 경제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3.14

(출처=클립아트코리아)

대출금리 찔끔 내렸는데, 예금금리는 폭락?... 1월 예대금리차 확대돼

▷ 예금, 대출금리 둘 다 내렸지만... 예대금리차는 확대 ▷ 5대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 하락폭 대출 금리보다 커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3.02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