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17년 만 금리인상...증권가 "당분간 엔화약세"
▷BOJ 단기 기준금리 0~0.1%로 인상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마이너스 금리’를 고수해 온 일본이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증권업계에서는 당분간 엔화 약세 흐름이 이어질거라 전망하면서도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엔캐리 트레이드란 금리가 싼 엔화를 빌려 달러로 바꾼 뒤 국외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20일 뉴시스에 따르면, 일본은행(BOJ)은 전날 단기 기준금리를 연 0~0.1%로 인상했습니다. 이와 함께 장단기 금리조작(YCC)을 폐지해 금리 변동을 용인하기로 했습니다. 2007년 2월 이후 약 17년 만의 금리 인상입니다. 다만 YCC 폐지에도 당분간 국채 매입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금리 급등시 매입 규모를 증가시킨다는 단서를 달았습니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엔저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최예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예상된 결정이라는 점과 추가 긴축이 없을 것이란 시장 기대에 엔·달러는 현 수준을 유지하다가 FOMC 이후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밀리면 151엔 돌파 시도도 보일 것"이라면서 "원·엔은 900원대 전후에서 움직일 전망"이라고 봐습니다.
이와함께 전문가들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와 함께 엔화 가치가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미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둘러싼 논쟁 과정에서 시중금리가 반등하는 과정이 진행 중인 만큼 이번 FOMC에서 공개되는 점도표 등에 금융시장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최예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점도표상에서 올해 최종금리 상향 조정 시 엔·달러 환율은 151엔 상향 돌파 시도가 나타날 것"이라며 "2분기까지 엔화 약세 이후 연준의 금리 인하와 함께 점진적인 강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향후 엔화가 강세로 전환될 경우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엔화 강세 진행 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일어나면서 주요국 증시에 충격을 가할 소지는 있다"면서도 "그러나 점진적인 통화정책 정상화를 제시한 만큼 급격한 엔화 강세는 일어나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