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시중은행 주담대 변동금리 올라..."취약부문 신용위험 대비"
▷0.16% 상승...코픽스가 석 달 만에 반등한 탓
▷"취약계층의 부실위험과 자산건정성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 높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금리가 내일부터 상승할 예정인 가운데, 채무상환부담이 높아 부실위험이 있는 취약계층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17일부터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변동금리가 0.16%포인트 상승합니다. 지난달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와 은행채 금리가 오르면서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석 달 만에 반등했기 때문입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82%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8월(3.66%)보다 0.16% 포인트 올랐습니다. 코픽스는 5월 6월 3.70%를 기록했다가 7월(-0.01%p)과 8월(-0.03%p) 잇따라 하락한 뒤 지난달 다시 반등했습니다. 시중 은행들은 17일부터 신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이날 공개된 코픽스 금리를 반영할 예정입니다. 잔액 기준 코픽스 역시 3.86%에서 3.88%로 0.02% 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입니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됩니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입니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와 잔액 기준 코픽스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 환매조건부채권매도, 표지어음매출, 금융채(후순위채 및 전환사채 제외) 수신상품의 금리 등을 바탕으로 산정됩니다.
2019년 6월부터 새로 도입된 '신(新)잔액기준 코픽스' 또한 한 달 사이 0.02% 포인트 상승해 3.29%를 기록했습니다. 신잔액 코픽스에는 기타 예수금과 차입금, 결제성 자금 등이 흐름이 추가로 반영됩니다.
정천수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안정총괄팀 과장은 "저소득, 고령층 등 취약계층은 오히려 채무상환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나 부실위험이 상승 할 수 있고 이들의 부실위험이 현실화 될 경우 취약계층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면서 "가계부채 누증 완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는 가운데서도, 취약부문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도 면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