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시중은행 주담대 변동금리 올라..."취약부문 신용위험 대비"
▷0.16% 상승...코픽스가 석 달 만에 반등한 탓
▷"취약계층의 부실위험과 자산건정성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 높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금리가 내일부터 상승할 예정인 가운데, 채무상환부담이 높아 부실위험이 있는 취약계층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17일부터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변동금리가 0.16%포인트 상승합니다. 지난달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와 은행채 금리가 오르면서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석 달 만에 반등했기 때문입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82%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8월(3.66%)보다 0.16% 포인트 올랐습니다. 코픽스는 5월 6월 3.70%를 기록했다가 7월(-0.01%p)과 8월(-0.03%p) 잇따라 하락한 뒤 지난달 다시 반등했습니다. 시중 은행들은 17일부터 신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이날 공개된 코픽스 금리를 반영할 예정입니다. 잔액 기준 코픽스 역시 3.86%에서 3.88%로 0.02% 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입니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됩니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입니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와 잔액 기준 코픽스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 환매조건부채권매도, 표지어음매출, 금융채(후순위채 및 전환사채 제외) 수신상품의 금리 등을 바탕으로 산정됩니다.
2019년 6월부터 새로 도입된 '신(新)잔액기준 코픽스' 또한 한 달 사이 0.02% 포인트 상승해 3.29%를 기록했습니다. 신잔액 코픽스에는 기타 예수금과 차입금, 결제성 자금 등이 흐름이 추가로 반영됩니다.
정천수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안정총괄팀 과장은 "저소득, 고령층 등 취약계층은 오히려 채무상환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나 부실위험이 상승 할 수 있고 이들의 부실위험이 현실화 될 경우 취약계층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면서 "가계부채 누증 완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는 가운데서도, 취약부문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도 면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