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5

사진=쳇gpt이미지

금융硏 "하반기 수익성 둔화 직면할 것...건전성에도 '빨간불'"

▷"상반기 최대실적은 일회성" ▷시장금리 하락세 따라 NIM 하락세 예상 ▷"건전성 관리 보다 철저히 해야"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9.29

우리금융그룹 서울 회현동 본사. 사진=우리금융

[종합] 우리금융, 상반기 순이익 1조5513억원...비은행·자본비율개선

▷NIM개선·수수료 확대에 2분기 순익 9346억 ▷CET1 12.76%...지난해와 비교해 0.63% 개선 전망 ▷"동양·ABL생명 편입으로 하반기 시너지 기대"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7.29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정리규모 감소로 지난 분기보다 상승했다. 사진=금감원

3월말 은행 부실채권 비율 0.59%, 전분기 대비 0.05%p↑

▷25년 3월말 국내은행 부실채권 현황 발표 ▷정리규모 감소로 지난 분기보다 소폭 상승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5.30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8% 증가한 8142억원, 은행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은 7604억원을 달성했다고 28일 밝혔다.

IBK기업은행,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 ▷중소기업대출 6조 6000억 넘게 늘어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4.28

지난해 12월 은행 대출 연체율 0.44%로 하락.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2월 은행 대출 연체율 0.44%...전월대비 0.08% 하락

▷금감원, '2024년 12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 발표 ▷대기업 제외 전문야 연체율 상승..."자산건전성 관리 강화토록 할 예정"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2.17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2일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2025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사진=IBK기업은행

[신년사]김성태 기업은행장 "고객 니즈 집중해 새 가치 창출"

▷중소기업금융 강화 등 5가지 중점과제 제시 ▷금융사기 예방으로 고객신뢰 유지·회복 강조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1.02

기업은행. 사진=연합

[2024 결산]기업은행, 역대 최대실적...건전성 악화는 고민

▷고금리·글로벌 경기 침체 속 사상 최대 실적 달성 ▷디지털 부문서도 두각...다만 내년 은행권 전망 어두워 ▷직면한 어려움 해결하면 금융권 내 입지 더 확고해져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4.12.30

금융당국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보험개혁회의'를 열고 'IFRS17 안착을 위한 보험건전성 감독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 IFRS17 정착 위해 보험사 고무줄회계 손 본다

▷금융위·금감원, 제 4차 보험개혁회의 개최 ▷K-ICS 해지위험액 정교화...40%의 해지율 감소 충격 적용

경제 > 금융    |   이필립 기자    |   2024.11.04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올해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총자산 3,672조... 성장세 지속

▷ 국내 금융지주회사 10곳 총자산 전년말 대비 142조 원 증가 ▷ 순이익 14조 556억... 은행 비중 절반 이상

경제 > 금융    |   김영진 기자    |   2024.10.04

24일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에서 발언하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 = 연합뉴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통화긴축 기조는 완화되어도, 저금리 시대로의 회귀는 아니다"

▷ 美 기준금리 인하 결정에 따른 금융시장 현안 점검 및 소통회의 개최 ▷ 거시건전성 관리 및 생산 부문 투자 활성화 초점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9.24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