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의 와인 가격이 OECD 38개국에서 3번째로 비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 27일(현지시각) CNBC는 개인 제트기 판매 및 임대 업체 컴페어마이제트가 ‘세계와인습관지수(The World’s Wine Habit Index)’를 집계한 결과, 한국의
와인 평균 가격은 한 병당 1만7000원대로 OECD 주요국에서 세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세계에서 와인 평균 가격이 가장 저렴한 나라인 포르투갈(약
5491원) 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준입니다.
포르투갈 다음으로 와인이 저렴한 나라는 헝가리(3.91유로), 칠레(4.17유로), 슬로바키아(4.36유로), 독일(4.89유로), 스페인(4.89유로), 오스트리아(5.24유로), 네덜란드(5.24유로)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한화로 5450~7400원 수준입니다.
포르투갈은 와인 소비량도 가장 높은 국가로 나타났는데, 1000명당 45리터의 와인을 소비합니다. 또, 포르투갈은 인구 1000명당 74리터의 와인을 생산해 OECD 국가 중 세번째로 와인을 많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와인 평균 가격이 가장 비싼 나라로는 ‘아이슬란드’가 꼽혔습니다. 아이슬란드의 와인 평균 가격은 14.97유로(약 2만3700원)이었고, 노르웨이(14.35유로), 한국(12.79유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최근 주류를 소비하는 트렌드가 ‘편의점’을 중심으로 바뀌면서 GS25, 이마트24 등 유명 편의점들이 소비자 이목을 끌 수 있는 제품과 이벤트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GS25는 3월 1일부터 한 달간 전국 1만 6000여개
GS25와 주류 스마트오더 시스템 와인25플러스를 통해 57종, 20만병에 달하는 와인을 초특가로 판매하는 행사를 진행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시중가 20만원 수준의 보르도그랑크뤼클라세 5등급 와인인 샤토벨그라브, 여왕의 샴페인으로 알려진 마리스튜어트 등의
초프리미엄 와인들을 한정 물량으로 5만~7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마트24는 유명 일본 위스키인 ‘코슈
나라사키(코슈 나라사키 위스키 퓨어몰트∙코슈 나라사키 위스키 골드)’ 2종을
국내 최초로 선보입니다.
해당 위스키는 스코틀랜드의 위스키에 견줄 만큼 우수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인정받으며 최근 ‘품절 대란’까지 일으킬 정도로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