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2일 챗GPT 등 인공지능 챗봇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부처 내 활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전문가 특강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특강은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AI-데이터 분과위원장인
하정우 네이버 인공지능연구소(AI랩) 소장이 진행을 맡았습니다.
이날 특강에서는 업무메일, 보도자료,
SNS 홍보 문구 작성 등 정부부처 업무에서 활용 가능한 챗GPT 기능을 시연하며, AI 챗봇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과기부뿐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도 지난 21일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초빙해 디지털 기술의 성장과 사회변화에 따른 문체부의 역할과 문화행정 방향을 고민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정부 부처가 챗GPT에 대한 직원 교육을 실시한 데에는
지난달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챗GPT를 활용하라는 지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챗GPT는 전세계적인 인기에 힘입어 기술은 물론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국내 IT 업계는 분야를 가리지 않고 챗GPT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출시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은 챗GPT를 활용한 ‘건강 AI챗봇’ 서비스를
지난 21일에 출시했습니다. 굿닥은 챗GPT를 통해 건강∙시술에 대한 질문을 빠르게 제공해 서비스 사용성을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여행 슈퍼 앱을 서비스하는 마이리얼트립 또한 챗GPT를 기반으로 한
‘AI 여행 플래너’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마이리얼트립의 AI 여행플래너 서비스는 챗GPT를 통해 여행 일정뿐만 아니라 맛집, 명소, 날씨, 팁 등 여행 관련 다양한 주제에 대한 대화가 실시간으로 가능합니다.
대기업들도 챗GPT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SK 텔레콤은 지난해 5월 출시한 AI 비서 서비스인 ‘에이닷’에
챗GPT를 접목해 기존보다 뛰어난 성능으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선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삼성은 업무 자동화 솔루션(RPA)에 챗GPT 기능을 도입해 반복적인 작업의 능률을 대폭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