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2일 챗GPT 등 인공지능 챗봇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부처 내 활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전문가 특강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특강은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AI-데이터 분과위원장인
하정우 네이버 인공지능연구소(AI랩) 소장이 진행을 맡았습니다.
이날 특강에서는 업무메일, 보도자료,
SNS 홍보 문구 작성 등 정부부처 업무에서 활용 가능한 챗GPT 기능을 시연하며, AI 챗봇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과기부뿐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도 지난 21일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초빙해 디지털 기술의 성장과 사회변화에 따른 문체부의 역할과 문화행정 방향을 고민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정부 부처가 챗GPT에 대한 직원 교육을 실시한 데에는
지난달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챗GPT를 활용하라는 지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챗GPT는 전세계적인 인기에 힘입어 기술은 물론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국내 IT 업계는 분야를 가리지 않고 챗GPT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출시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은 챗GPT를 활용한 ‘건강 AI챗봇’ 서비스를
지난 21일에 출시했습니다. 굿닥은 챗GPT를 통해 건강∙시술에 대한 질문을 빠르게 제공해 서비스 사용성을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여행 슈퍼 앱을 서비스하는 마이리얼트립 또한 챗GPT를 기반으로 한
‘AI 여행 플래너’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마이리얼트립의 AI 여행플래너 서비스는 챗GPT를 통해 여행 일정뿐만 아니라 맛집, 명소, 날씨, 팁 등 여행 관련 다양한 주제에 대한 대화가 실시간으로 가능합니다.
대기업들도 챗GPT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SK 텔레콤은 지난해 5월 출시한 AI 비서 서비스인 ‘에이닷’에
챗GPT를 접목해 기존보다 뛰어난 성능으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선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삼성은 업무 자동화 솔루션(RPA)에 챗GPT 기능을 도입해 반복적인 작업의 능률을 대폭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