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인천에서 친부와 계모의 학대로 초등학교 5학년 아이가 온몸이 멍든 채 숨진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사망 당시 피해 아동은 온몸에 외부 충격으로 생긴 상처로 추정되는 멍 자국이 발견됐고, 몸무게는 또래에 비해 15kg 적은 30kg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친부와 계모는 초기 경찰 조사에서 “훈육하려고 때린 적은 있다”면서도 “몸에 든 멍과 상처는 아이가 자해해서 생긴 것”이라고 부인했습니다. 이에 피해 아동 친모와 삼촌이 아동학대 사범들에게 중형을 선고하고 신상을 공개해야 한다는 국민청원에 나섰습니다.
#생후 44일된
아들을 자신의 몸으로 눌러 살해한 20대 친모에게 징역 15년이
확정됐습니다. A씨는 지난해 5월 태어난 지 44일 된 아들이 잠을 안자고 계속 울자 자신의 몸으로 눌러 살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A씨는 당시 아들이 분유를 먹고 잠들지 않는 것에 화가나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한 A씨는 다른 자녀 2명을
학대한 혐의로 이미 1심에서 징역 2년에 집행유혜 3년을 선고받은 바 있습니다.
지난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0~17세 아동∙청소년 가운데
아동학대 피해 경혐률은 10만명당 502.2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0년 401.6건보다 100건 넘게 급증한 수치로, 2001년 17.7건보다 30배나 늘었습니다.
아동학대 사례 건수는 2013년(6796건) 이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인 후 2019년 3만45건으로 급등했습니다. 2021년에는
3만7605건으로 전년(3만905건)보다 6700건
늘었습니다.
코로나 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학대 피해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아동학대 사례 건수는 전국 아동 보호 전문기관에 신고된 사례만을 집계한 것으로 실제 학대 건수가 증가한 것인지, 신고건수의 증가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최근 아동학대 사건의
언론에 자주 소개되면서 사회적 관심 증가가 신고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2019~2021년 기준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점로 OECD 중 하위권을 기록했습니다.
힌국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4.7점)와 콜롬비아(5.8점) 2곳이었습니다.
이밖에도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은
2021년 기준 26.0명으로 전년보다 0.3명 늘었고. 1인당 국내 여행 일수도 2021년 6.58일에 그쳐 코로나19
이전(2019년10.0일)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