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8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즐거운 추석 연휴에도…취준생에게 하면 안 되는 말 1위는?

▷추석 연휴 구직자들이 꼽은 최악의 말은? ▷진학사 캐치, "취업에 대한 가치관 세대마다 달라...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대화 필요"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5.10.02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단체사진(사진=한글과컴퓨터)

MZ세대와 함께 성장… 한컴아카데미 서포터즈 1기 출범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출범...수도권 대학생 24명 최종 선발 ▷"미래 AI 시대를 이끌어갈 청년 인재들과 한컴아카데미 성장을 위한 첫걸음"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9.26

토스인슈어런스가 소속 보험설계사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26일 공개했다. 사진=토스인슈어런스

'보장 부족한데 보험료는 비싸'...토스인슈, 보험소비자 행동 분석

▷설문조사 결과 공개...보험설계사 300명 대상 ▷보험소비자, 중대질병 중심 건강보험 선호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5.26

케이뱅크의 게임형 앱테크인 ‘돈나무 키우기’가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케이뱅크

케이뱅크, '돈나무' 출시 1년 만에 2000만 그루 돌파

▷게임형 앱테크 서비스...키우는 과정서 현금보상 ▷누적 이용 고객 232만...최대 12만 5000원 혜택 제공 ▷재미와 혜택 모두 잡아...은행권 앱테크 확산 이끌어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5.21

잡코리아가 디지털 명함 앱 ‘눜(nooc)’, 커리어 궁합 테스트를 론칭했다.(이미지=잡코리아)

잡코리아, 디지털 명함앱 ‘눜’서 AI 커리어 궁합 테스트 론칭

▷입사 희망 기업과 ‘잘 맞는지’ AI가 명리학 기반으로 분석 ▷테스트 참여 후 회원 가입 시 1.8만원 상당 NFC 명함 제공

산업 > 중기/벤처    |   김영진 기자    |   2025.05.13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떠오르는 MZ세대 부자... "부의 세대교체에 대비해야"

▷ 황선경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 '부의 미래, MZ세대의 부자를 사로잡는 법' ▷ MZ세대 부자 급격한 증가세... 평균 2.6개 소득원 보유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3.26

(출처=진학사 캐치 홈페이지)

Z세대에 노조 가입 여부 묻자...10명 중 3명 "가입할 것"

▶Z세대 취준생 31% 노조 "가입할 것"...."가입하지 않을 것" 18% ▶노조 가입 이유로 '임금인상' 관심도 가장 높아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7.05

(출처=클립아트코리아)

무신사, 국내 패션앱 시장에서 1위 등극…2위는 에이블리

▶국내 패션의류 앱 중 무신사 월간 사용자 수 1위 차지 ▶MZ세대 소비자, 10번 중 7번은 온라인 플랫폼 이용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5.30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사라지는 체크카드...1위는 '페이코 포인트 카드'

▷부수입 얻을 수 없어...간편결제 시장 확대도 영향 ▷카드고릴라 지난해 가장 인기있던 카드 발표

경제 > 경제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4.01.08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MZ세대 다음엔 '잘파세대'... 금융에 관심 많고 앱테크에 적극적

▷ 'Z+α'세대인 '잘파세대'... "2025년이면 알파세대가 주류" ▷ 잘파세대, 2/3이 용돈을 저축... 알파세대는 더욱 적극적 ▷ 앱테크에 큰 관심 보여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9.01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