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01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국회의원은 '7세고시국민고발단'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등 19개 교육단체와 함께 영유아 대상 '영어학원 금지법' 및 '레벨테스트 금지법'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27일 열었다. (사진=강경숙 의원실)

강경숙 의원, '4세·7세 고시' 교육 전쟁...피해는 우리 아이에게

▷강경숙 의원·19개 교육단체, 영유아 대상 사교육 금지법 촉구 ▷ 최근 5년간 영유아 소아청소년정신과 방문 수 1.5배 급증

교육 > 교육정책    |   전희수 기자    |   2025.08.27

영유아 발진 증세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이 온몸에 ‘발진’ 일어난다면, 수족구병 의심…“낫기 전 어린이집 등원 금물”

▷ 0~6세 유아 중심으로 확산…외래환자 1천 명당 36.4명 발생 ▷ 손 씻기·소독 등 위생수칙 필수…의심 시 의료기관 진료 당부

사회·정치 > 전국    |   이수아 기자    |   2025.08.27

왼쪽부터 건설근로자공제회 무료 상해 보험 가입 지원 관련 이미지, 고용노동부 온열질환 예방 조치 이미지 (이미지 = 건설근로자공제회, 고용노동부)

사회공공연구원 “건설근로자 복지·혜택 확대, 제도적 지원 병행돼야”

▷ 21일 건설근로자공제회, 건설근로자 대상 상해보험 가입 지원 ▷ 사회공공연구원, “산해보험 적용 강제화 방안 마련 필요”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전희수 기자    |   2025.07.22

바이오팝의 박정석 의장(사진=바이오팝)

[비전리더] “불편함 없는 진단, 바늘 없는 혁신”… 바이오팝, 엘릭서로 헬스케어 패러다임을 다시 쓰다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바이오팝 박정석 의장 인터뷰 ▷비침습 혈액 분석 기법으로 부담 없는 건강 상태 모니터링 가능

인터뷰 > 비전리더    |   이정원 기자    |   2025.07.17

식약처에 공개한 주요 적발 사례(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의료기기 표방 불법 광고 주의 당부…”안질환 초기 증상 시 가까운 병원 찾아야”

▷식약처, 일반 공산품을 의료기기 효능 있는 것으로 오인시키는 광고 총 83건 적발 ▷”안질환 초기 증상 있을 경우, 전문의 도움 받아야”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5.07.07

미래에셋생명이 자체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을 활용해 임직원의 건강관리 혁신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미래에셋생명, AI 디지털 헬스케어로 임직원 건강관리 혁신

▷‘M-LIFE’앱으로 건강관리,병원 예약 등 가능 ▷전 계열사 임직원 대상 서비스 혜택 확대

경제 > 증권    |   류으뜸 기자    |   2025.07.07

사진=연합뉴스

권익위, "장기간 복용 약값도 실손보험 보장해야"

▷국민권익위, 장기 약 복용 환자 위한 실손보험 개선안 마련…금융당국에 제도 정비 권고 ▷노후·유병력자 전용 실손도 설계기준 신설 권고…“고비용에도 약값 보장 없어 소비자 피해”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6.18

삼성생명은 「The라이트 간편건강보험(갱신형, 무배당)」(이하 「The라이트 간편건강보험(갱신형)」을 12일부터 판매한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삼성생명

삼성생명, 「The라이트 간편건강보험(갱신형, 무배당)」 출시

▷해지 시 환급금이 없는 대신 더 가벼워진 보험료 ▷30년 갱신형으로 보험료 인상 없이 최대 30년 보장 가능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6.11

하나생명은 다양한 특약과 상품 유형으로 손님의 필요에 따라 맞춤 설계가 가능한 ‘(무)하나로 누리는 건강보험’ 상품을 출시해 판매한다고 10일 밝혔다. 사진=하나생명

하나생명, (무)하나로 누리는 건강보험 출시

▷3대 주요 질병 및 시니어 질환까지 통합 보장 설계 가능 ▷건강상태에 따라 일반·간편 심사형 선택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6.10

한컴케어링크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주관하는 학술용역 과제를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로고=한컴케어링크)

한컴케어링크, 질병관리청 학술용역 과제 3년 연속 수주…정밀의료 연구 선도

▷차세대 한국인칩 v2.0 활용해 장기이식 환자 대상 유전체정보 생산 나서 ▷심혈관·고혈압 유전체 연구 성과 기반…AI·ICT 융합 맞춤형 헬스케어 강화

산업 > IT    |   김영진 기자    |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