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온몸에 ‘발진’ 일어난다면, 수족구병 의심…“낫기 전 어린이집 등원 금물”
▷ 0~6세 유아 중심으로 확산…외래환자 1천 명당 36.4명 발생
▷ 손 씻기·소독 등 위생수칙 필수…의심 시 의료기관 진료 당부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수족구병 환자수가 5월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33주차(8월 10~16일) 수족구병 발생 현황은 외래환자 1천 명당 26.7명으로, 지난 5월 1.5명보다 가파르게 증가했다.
특히 영유아 환자가 증가해 0~6세에선 1천 명당 36.4명꼴로 수족구병 증상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정과 보육·교육시설에 철저한 예방 수칙 준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수족구병은 봄부터 가을까지 주로 발생하는 특성이 있어, 당분간 유행이 이어질 것으로 질병청은 내다봤다.
이 질환은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 환자의 대변 , 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분비물로 오염된 물건(공동 사용 장난감, 집기 등)을 만질 경우 전파된다.
주요 증상은 손, 발,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것이다. 이외에도 발열, 무력감, 식욕감소, 위장관 증상(설사, 구토)이 동반될 수 있다.
대부분은 발생 후 7~10일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 뇌염, 마비 증상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진료가 필요하다.
특히 6개월 미만 영아나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2일 이상 발열이 지속되는 등 증상이 심한 경우엔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질병청은 당부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수족구병은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집중적으로 퍼질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을 경우 등원을 자제하고, 시설 내 장난감, 놀이기구, 문 손잡이 등의 소독 관리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에 걸린 아동이 완전히 회복한 뒤에만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