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붙는 관세전쟁... 국제질서 변화 불가피
▷ 美...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 행정명령 시행 앞둬 ▷ 국제금융센터, "우리 제품 수출 경쟁력에 대한 반사이익 기대"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5.02.03

유리한 입지에 선 트럼프... "트럼프 2.0 준비해야"
▷ 미수에 그친 트럼프 전 대통령 피격사건... 대선 승리 가능성 높여 ▷ "트럼프 2.0시대 가능한 준비하고 대응해야"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4.07.15

재편되는 국제질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 강화해야
▷ 국회연구조정협의회, "미국 국제질서가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 인식" ▷ 한국금융연구원,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 강화"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4.02.07

격화되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장기화되는 러-우 전쟁... 요동치는 美 중심 세계질서
▷ 고강도 소모전 돌입한 러-우 전쟁... 국제질서의 다극화 가속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미국의 중동 화해 전략은 후퇴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11.07

한미 외교·국방 고위급 회담 열려... "긴밀한 협력 재확인"
▷ 외교부 - 미국 국무부 정보조사국 만남..."북-러 군사협력 심각한 우려" ▷ 제23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개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사회·정치 > 정치 | 김영진 기자 | 2023.09.19

[외신] 독일,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 줄이겠다"
▷ 경제적으로 긴밀한 독일과 중국인데... 독일, "중국이 변했다. 접근 방식 바꿔야" ▷ 독일, 중국이 글로벌 안보 위협한다고 진단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7.14

"미중갈등, 장기화되고 심화될 것"... 부정적인 전망 많아
▷ 국회미래연구원, '2050년 우리는 어떤 국제질서를 원하는가?: 세계질서 대전환의 7대 트렌드와 세계의 선호미래' ▷ 대다수 학자, "2050년, 미국과 중국 중 누가 이길 것이라 장담할 순 없으나 미중갈등 심화될 것"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5.17

심화하는 중국의 반도체 고립... "기술력 극복 못한다면 격차 벌어질 것"
▷ 미국, 중국 겨냥 경제적 압박 높여 ▷ 중국은 코로나19 리-오프닝 효과 기대... 생산과 소비 모두 호조세 ▷ 다만, 반도체 제재 극복 못한다면 많은 어려움 있을 것으로 전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4.10

[외신] 사면초가에 놓인 러시아... 중국이 동앗줄 내려줄까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1주년 넘어... 전선 고착화 ▷ 시진핑 중국 주석 이번에 러시아 방문... "협력 강화" ▷ 중국, 러시아를 도울 것인가 혹은 물러설 것인가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3.20

[외신] 美 등에 업고 군비 증강 나선 일본
▷ 日 '반격 능력' 갖출 수 있도록 안보 문서 수정 ▷ 중국 견제하려는 미국... 일본의 결정 환영 ▷ CNN, "중국, 일본 향해 경고하고 있어"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2.12.22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