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재편되는 국제질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 강화해야

▷ 국회연구조정협의회, "미국 국제질서가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 인식"
▷ 한국금융연구원,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 강화"

입력 : 2024.02.07 16:45
재편되는 국제질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 강화해야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국제질서를 주름잡고 있는 국가를 묻는다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국’을 선택했습니다.

 

막강한 경제력과 국방력, 기술력 등을 갖춘 미국은 세계 그 어느 국가들보다도 입김이 강력했는데요.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에서 첨예한 군사적 갈등이 발생하면서 미국의 입지는 조금씩 흔들리는 듯합니다.

 

미국의 파급력이 세계에서 손가락 안에 드는 것 맞지만, 그 힘이 예전 같지 않다는 이야기인데요. 러시아와 중국 등 여러 나라들이 미국에 담대하게 도전장을 내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멘처럼, 미국을 실제로 공격하는 사례까지 나타났는데요.

 

이와 같이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질서가 균열을 보이는 상황에서, 새롭게 대두하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해 우리나라의 입지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먼저,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가 정말로 흔들리고 있는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회연구조정협의회의 공동연구 국제질서 패러다임 인식과 대응 주요국의 논의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현 국제질서를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개로 나뉘어집니다.

 

그간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가 지속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시각이 있는 한편,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의 부상에 따라 새로운 질서가 잉태되고 있다는 시각이 병존하고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이를 신냉전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미국을 중심으로 일본과 서방이 구축된 하나의 진영과 중국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북한이 묶인 진영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연구진은 미국과 중국은 현존 국제질서의 경쟁자로서 거시적 조망을 시도하고 있으며, 유럽·일본·북한은 미중 갈등 속에서 각기 자국의 국가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미국은 국제질서가 명백히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는데요.

 

미국 주도하는 국제질서가 깨지고 있다는 사실이 명백하다면, 자연스레 우리나라의 움직임이 중요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러시아와 거리를 두며 미국과 비교적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와 친한 중국과의 관계를 무작정 끊기는 어렵습니다. 중국의 경제가 이전보다 흔들리고 있다고 해도, 중국은 여전히 우리나라 수출의 가장 큰 손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질서 그 어느 진영에도 속하지 않으려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 확대 필요성보고서를 통해 대외개방을 통해 성장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도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해 왔지만, 이제 글로벌 사우스의 중요성이 증대된 만큼 이들과의 협력연대를 더욱 강화하여 새롭게 대외경제적 지평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는 북반구 저위도부터 남반구까지 자리한 130여 개의 중·저소득 국가를 일컫는 개념입니다. 미국, 유럽, 러시아, 중국 등 강대국을 일컫는 글로벌 노스와는 대비되는 개념인데요.

 

이들 국가들 중 일부는, 이념보다 현실주의적 실리를 우선합니다. 자국에 도움이 된다면 이념에 상관없이 미국이나 중국 그 누구든 협력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설명에 따르면,가령 인도는 서방국가의 경제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와 원유거래 등 경제적 교류를 지속하면서도 미국 주도의 안보협력체 QUAD 및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 참여하여 중국 견제에 나서고 있다,인도 외에도 튀르키에,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남아공 등이 지역적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양쪽 사이의 중간지대를 형성하고 있고 선택적 실리에 적극적이지 않은 저소득 국가들 또한 양쪽 진영에의 명시적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3지대에 속한 국가들이 바로 글로벌 사우스인 셈인데요.

 

인도를 비롯한 글로벌 사우스가 국제 질서에서 갖는 무게감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국제질서가 불안정해진 이 시기에 글로벌 사우스가 어떤 자세를 취하는지가 새로운 국제질서의 재편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인데, 미국·중국·인도 등이 이들로부터 충분한 신뢰를 확보하기까지 상당한 공백이 남아있음에 따라 공적개발원조, 금융협력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입지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이 바로 공적개발원조(ODA)입니다. 이들에 대한 ODA202228억 달러를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했으나, GNI 대비 0.17%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ODA를 확대하는 건 물론 적절한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 부문에서는 공적개발원조와 별개로 수행되는 해외금융협력협의회의 금융협력 사업이 글로벌 사우스와의 연대를 더욱 강화시켜줄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대한민국은 거주이전에 자유가 보장되는 나라인데 왜 당사자에 의견은 무시하고 제삼자가 탈시설하라 난리인가요? 이것도 인권을 무시하는 처사가 아닌가요?

2

자립지원이라는 이름으로 결국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목적으로 하는 악법입니다 장애의 특성 유형과 싱관없이 모두 자립해야힌다는 장애의 이해를 전혀하지못히는 몰상식한 법안은 누구를 위한 법입니까? 말도 못하는 중증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은 누가 책임지나요?

3

절대 반대합니다. 인간을 망치는 악법 절대 반대합니다.

4

학생뿐 아니라 모든 인간의 인권은 보장되어야하고 모든 사람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며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이뤄나가야 하는것이지 특정집단을 위한답시고 법을 계정하는것은 계속해서 분란만 만들뿐입니다 민주당은 계속 이상한 법들좀 만들지 않았음 합니다

5

중증발달장애인에게 시설은 선택이 아니라 생명줄입니다. 시설은 감옥이 아닙니다. 어린아기 수준의 장애인들에게 탈시설이 의미가 있겠습니까? 각자 장애에 맞는 주거권을 나라에서는 보장햬야 합니다. 탈시설로 몰아가는 것은 폭력이며 중증발달장애인의 삶을 벼랑으로 몰고 가는 것입니다. 탈시설 조례안은 폐지 되어야 합니다. 전장연은 이일에 당사자가 아님니다. 각자 장애에 맞는 주거권이 필요합니다.

6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이 아니고 요양시설입니다.24시간 돌봄과 의료인력이 상주한 요양기능이 꼭 필요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이 전장연 그들의 이권에 이용되지 않도록 탈시설지원 조례는 반드시 폐지 되어야 합니다.

7

절대 반대합니다 나라가 뒤집히는 악법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