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독일,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 줄이겠다"

▷ 경제적으로 긴밀한 독일과 중국인데... 독일, "중국이 변했다. 접근 방식 바꿔야"
▷ 독일, 중국이 글로벌 안보 위협한다고 진단

입력 : 2023.07.14 16:35
[외신] 독일,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 줄이겠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독일이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CNN 보도에 따르면, 지난 13, 독일은 산업 내 중요한 분야”(“critical sectors”)의 중국 의존도를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의약품 등 바이오, 전기 자동차와 반도체 등 다양한 독일 내 산업군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축소시키겠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독일 정부의 의향은 중국에 대한 전략”(“Strategy on China”)이라는 40페이지 분량의 문서에 담겼습니다.


중국이라는, 세계 경제 2위의 대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독일 정부가 마치 줄타기를 하듯”(tightrope Berlin must walk in managing its dependence on the world’s second-largest economy”) 면밀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게 문서의 주된 요지입니다.  


사실 독일과 중국의 경제적 관계는 우리나라와 중국처럼 긴밀합니다. 독일과 중국의 무역 규모는 2022년 기준 약 3,000억 유로(3,350억 달러), 우리나라 원화로 약 424조 원에 달합니다. 수입과 수출 모두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중국에 대한 전략에선 중국이 변했다. 중국의 정치적 결정이 이 결과를 이끌어 냈으며, 우리(독일)는 중국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한다(China has changed. As a result of this and China’s political decisions, we need to change our approach to China”)고 명시했습니다.


중국의 정치적 결정은 미국/서방과의 냉랭한 관계를 연상하게끔 합니다. 중국은 이들보다는 러시아와 북한 등 반서구 지역과 친밀하게 지내고 있는 상황인데요.


해당 문서에선 향후 기후 변화와 팬데믹, 지속가능한 발전 등에 대처하기 위해서 중국은 중요한 파트너라고 덧붙였습니다만, 중국의 최근 행보를 더욱 더 경계했습니다.


중국이 자신의 이익을 훨씬 더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규칙에 기반한 기존의 국제 질서를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pursuing its own interests far more assertively and is attempting in various ways to reshape the existing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고 진단했습니다. 중국이 글로벌 안보 상황을 위협하고 있다고 판단한 셈입니다.


결국 중요한 건, 독일이 중국과의 무역 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어떻게 높은 경제 의존도로부터 벗어나는가에 달려있습니다. 전기차의 리튬배터리, 반도체 제조 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원자재 등에서 중국을 배제하기 위해선 결국 공급망을 다변화시키는 방안밖에 없습니다.

 

올라프 숄츠(Olaf Scholz) 독일 총리 曰 우리의 목표는 중국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아니지만, 미래에 있어서 중요한 의존성을 줄이고 싶다”(Our aim is not to decouple [from Beijing]. But we want to reduce critical dependencies in the future”)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은 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출은 물론, 수입 공급망에 대한 주도권도 중국이 쥐고 있습니다.


중국은 오는 81일부터 IT 산업의 핵심 원자재인 갈륨과 게르마늄의 수출 통제에 들어가는데, 이에 대해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이번 조치의 단기간 수급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이나, 중국의 수출통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불투명하고, 다른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정부는 중국 동향을 자세히 점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반도체 등 주요 산업의 생산 차질이 없도록 대체처 발굴, 비축 등과 함께 특정국 의존도가 높은 대체물질 기술 개발, 재자원화 등 대응역량도 확충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는데요. 우리나라 역시 독일과 유사하게 중국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의 노력이 빛을 볼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3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4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5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6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

7

탈시설은 장애인들의 자립을위한 정책 방향일 수 있지만, 그러나 그것이 유일한 정답이며 그 외의 선택은 시대에 뒤떨어진 퇴행으로 몰아붙이는 시선은 오히려 다양성을 배제하는 위험한 사고임을 천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