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설명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중고거래 사이트 등에서 허위로 전자제품 물품을 판매한 사기조직 15명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이들은 베트남에 사무실을 두고 총책, 콜직원 등으로 역할을 나눠 범행를 저질렀고 피해자 1465명으로부터 약 7억 2천만원을 편취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근 인터넷과 모바일을 활용한 사이버 범죄가 급증하면서 경찰이 집중 단속에 나섭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 3월부터 8개월(3.1 ~ 10.31) 동안 사이버사기와 사이버금융범죄에 대한
집중단속을 벌여 2만5616명을 검거하고 1391명을 구속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과 비교했을 때 검거 인원 17.0%, 구속 인원은 5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범죄유형을 살펴보면, 사이버사기에서는 직거래 사기로 검거된 피의자가
4만922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게임 사기(5156건), 쇼핑몰
사기(1338건)가 뒤를 이었습니다.
사이버금융범죄의 경우, 메신저피싱이 2923건으로 가장많았고, 피싱∙파밍(435건), 몸캠 피승(330건)순으로 많았습니다.
경찰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범죄가 점차 조직화되고 다수∙다액 피해를
유발하는 등 수법이 악성화되면서 검거∙구속 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어 “서민 경제를 침해하는 악질 범죄인 사이버사기∙사이버금융범죄를 악성 사기 척결 대책에 포함해 연말까지 엄정 대응해 나가겠다”며
“사이버사기∙사이버금융범죄는 사전 피해예방이 가장 중요한
만큼 사이버캅 앱 활용하거나 수상한 링크는 클릭하지 않는 등 범죄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의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온라인으로 금전거래를 할 때는 반드시 상대방 신원을 정확히 확인하고, 고수익을 보장하거나 갑자기 가족, 친구라고 말하면서 개인정보∙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전형적인 사기 수법이므로 정확히 확인하기 전에는 상대방 요구에 응하지 말아달라”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