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 절반이 결혼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50%로
2년 전보다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결혼자금이 부족해서’가 28.7%로 가장 높고,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가 14.6%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컸는데 미혼 남자의 경우, ‘자금 부족’(35.4%)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은 반면 여자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23.3%)라고 응답한 비율이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연령별로 결혼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10대(13~19세) 29.1%, 60대(60세
이상) 71.6%로 나이가 높을수록 결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년 전보다 5.5%
상승한 65.2%로 동거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2012년(45.9%)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 역시 2년 전보다 4.0% 오른 34.7%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5.3%로 2년 전보다 2.7% 감소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8.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결혼에 대한 전통적인 가치관이 변화하면서 전문가들은 결혼을 강요하는 것보다 사회 구조적 개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한유화 칼럼리스트는 “점점 많은 청년이 자신만의 가치관을 지켜내는
방식으로 삶을 꾸려가고 있다. 결혼한 커플들도 전통적인 성 역할과 의무에서 탈피해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간다”며 “결혼 VS
혼삶의 이분법을 벗어나는 추세다. 결혼을 강요하기보다는 1인
가구로서의 삶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잘모르겠어요
5태릉~ 참 좋은 곳이죠 ㅎㅎ 시간되면 아이들이랑 같이 가봐야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6정말 교통편이 힘들긴 하더라구요 ㅠ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7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