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올해 상반기 경력단절여성 139만 7천명 중 육아로 인해 일을 그만둔 비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통계청이 발표한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810만 3천명 중 302만
7천명이 취업을 하지 않은 미취업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미취업자 중 경력단절여성은 139만 7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1천명
감소했습니다.
경력단절여성 수는 줄은데 반해 비율은 지난해보다 1.4% 늘어난 46.1%를 기록했는데, 이는 기혼여성 인구 감소와 정부 정책 등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경력단절의 이유로는 육아가 42.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결혼 26.3%, 임신∙출산 22.7%, 가족돌봄
4.6%, 자녀교육 3.6% 순이었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1.2% 증가한 가족돌봄을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가족돌봄'으로 경력이
단절되는 경우는 40~50대에서 두드러졌는데, 최근 고령층의
증가로 가족 구성원 중 여성이 노인 돌봄을 맡게 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연령별로 경력단절여성의 비율은 30~39세 60만명(43.0%), 40~49세 58만
7천명(42.1%), 50~54세 15만 2천명(10.9%),
15~29세 5만 7천명(4.1%) 순이었습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중에서는 자녀가 어리고, 많을수록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의 비율을 살펴보면 3명이상이 30.0%로 가장 높았고, 2명 27.5%,
1명 22.4%으로 자녀수가 적을수록 경력단절비율이 감소했습니다.
또한 6세 이하 자녀를 둔 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은 37.0%로 나타났고, 자녀의 나이가 많을수록 경력단절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