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고도화되는 보이스피싱 범죄 TOP3

입력 : 2022.10.25 16:06 수정 : 2022.10.25 16:2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A씨는 딸에게엄마, 폰이 고장나서 친구걸로 연락해라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이어 휴대폰 수리 보험금 청구시 보호자인 엄마의 개인정보가 필요하다며,신분증 사진,신용카드 비밀번호 등을 요구했고 A씨는 의심없이 관련 정보를 보냈습니다. A씨의 개인정보를 받은 사기범은 이후 은행을 찾아 비대면계좌를 개설하고 오픈뱅킹서비스를 신청해 다른 은행에 맡겨 있던 돈을 훔쳐갔습니다.

 

#평소 거래 은행에서 “전기통신금융사기 이용계좌로 신고접수돼 지급정지(계좌동결) 됐다는 안내를 받은 B씨는 계좌를 확인해보니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15만원이 입금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계좌동결 해제를 위해 고객센터로 연락했지만보이스피싱 피해자의 돈이 송금됐다보이스피싱에 이용된 계좌는 피해자가 신고하면 은행에선 지급정지가 가능하며, 지급정지 해제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이후 텔레그램을 통해 접근한 사기범은“150만원을 주면 지급정지를 풀어주겠다는 제안을 해왔고 결국 B씨는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지난 8 C씨는 모 지검 검사를 사칭한 연락을 받았습니다. 사기범은 C씨에게대포통장 관련 수사중이라는 말과 함께은행원들이 통장에 있는 돈을 인출할 수 있으니, 돈을 모두 뽑아 금융감독원 직원에게 건네주라고 전했습니다. 결국 C씨는 사기범에 말에 속아 3차례에 걸쳐 3 5천만원을 건내고 말았습니다.

 

보이스피싱 범죄가 나날이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국민 대부분이 전화금융사기를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최근 일어나는 보이스피싱 범죄의 양상을 보면 일반인이 쉽게 알아차릴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한 시나리오와 최첨단 통신기술이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선 개인정보 제공이나 자금을 요구할 경우 무조건 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출처가 불분명한 URL 주소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어 절대 누르면 안되고 전화나 문자로 앱 설치를 요구할 땐 즉시 삭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