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비행기 사고... 생존을 위한 가이드라인

입력 : 2022.10.24 13:11 수정 : 2022.10.24 13:24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170명의 승객을 태운 대한항공 여객기가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24일 대한항공은 전날 오후 7 20분쯤 인천공항에서 세부 막탄공항으로 향하던 KE631 여객기가 착륙 중 기상악화로 활주로를 이탈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당시 세부엔 도로가 침수될 정도의 폭우가 내리고 있었고 사고 여객기는 2차례 착륙 시도 끝에 3번째에 간신히 착륙에 성공했지만 활주로를 지나쳐 정지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여객기 바퀴와 동체 일부에 심각한 파손이 발생했지만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고 발생 5시간 후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은 사과문을 통해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탑승객들과 가족분들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한 마음이라고 전했습니다. 아울러현지 항공ㆍ정부 당국과 긴밀히 협조해 상황 수습에 만전을 기하고 탑승객들을 불편함 없이 안전하고 편하게 모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대한항공은 지난 7월 이스탄불에서 이륙해 인천으로 향하던 여객기가 엔진 화재로 인해 긴급 착륙하는 등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비행기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행 사고 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2012 NASA는 미국의 디스커버리 채널과 함께 보잉 727기를 추락시키는 실험을 통해 비행기 앞좌석보다 뒷좌석이 안전한다는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가장 앞쪽 더미(충격실험용 인형)에 가해지는 힘(12G)은 꼬리 쪽(6G)에 비해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비행기가 앞으로 부딪혔을 경우를 산정한 실험이지만 비행기 추락 시 앞쪽으로 추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앞보다 뒤쪽 좌석이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행기를 이용하다보면 뒷쪽 좌석을 이용하지 못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럴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더미 실험을 맡은 신디 비르 미국 웨인 주립대 교수는 비행기 사고 시  두 손을 깍지 낀채 머리를 감싸고 팔을 앞좌석 등받에 붙이는브레이스 포지션을 강조합니다. 그는 브레이스 포지션을 취한 더미와 그렇지 않는 더미를 비교한 실험에서 곧게 앉아 있던 더미는 앞좌석 등받이와 충격으로 뇌진탕이 발생했다” 반면 브레이스 포지션은 머리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국토교통부 항공운항과 안전감독관은 "비행기 불시착시 행동 요령은 충격 완화, 비상 탈출 후 생존 총 3단계로 나눠진다 일단 신체가 받는 충격을 완화해야 이후 행동 요령을 따를 수 있어 비행기 사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충돌 시 충격 완화"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