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다 싶어 사기를... 카카오 '먹통' 이용한 범죄 기승
▷ 카카오 서비스 이용 불가하자... "설치해주겠다"며 악성 프로그램 설치 유도
▷ 문자 메시지로 피싱 사이트 유포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15일에 발생한 카카오 ‘먹통’ 사태로 카카오톡을 비롯한 카카오의 모든 서비스가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습니다.
이 타이밍을 이용해 피싱 행각을 벌이는 일당들이 있어 소비자 유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카카오톡을 재설치해주겠다며 악성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하는 사례가 있었는데요.
이 경우, 카카오톡 설치파일(KakaoTalkUpdate.zip 등)로 위장한 악성 프로그램을 배포한 뒤, 사용자가 해킹메일을 열게 하는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또, 카카오톡 장애와 관련해 안내하겠다며 피싱 사이트를 문자 메시지로 유포하는 사례도 있었는데요. 이용자로 하여금 로그인을 유도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탈취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해당 유포 사이트를 긴급 차단하는 한편,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기본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와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하는 건 물론, 메일이나 문자 열람에 신중해야 하는데요.
만약, 이번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면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 누리집(www.boho.or.kr)로 즉시 신고한 뒤, ‘내 PC돌보미’ 서비스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카카오톡을 통한 피싱 피해는 날이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메신저피싱 피해액은 무려 416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디지털 문화에 상대적으로 익숙지 않은 고령층을 대부분 노렸는데요. 사기범들은 피해자의 지인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훔친 뒤, 돈을 탈취했습니다.
이외에도 소상공인 저금리 대출, 새출발기금 등 정부가 주관하는 정책을 사칭해 사기를 치는 사례도 있었는데요.
이번 카카오 피싱 사건처럼 범죄 수법이 날이 갈수록 치밀해지는 가운데, 이용자의 더욱 세밀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