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국내 최장 교량인 인천대교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보이는 추락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운영주체와 정부는 이렇다 할 안전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2009년 개통된 인천대교는 영종도와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국내 최장(21.4km) 교량으로 개통 이후 해마다 추락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추락사고 빈도가 잦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인천대교에서 투신한 사람은 총 17명(사망 16명)으로, 지난해 9명(사망 8명)에 비해 약 2배 급증했습니다.
해경 관계자는 “자세한 사연을 알 수는 없지만 경기 불황과 고금리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 같다”고 추측했습니다.
또한 “인천대교는 길고 높게 설계돼 추락사고가 발생하면 구조가 어려워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습니다.
인천대교측은 극단적인 선택을 방지하고자 다리 곳곳에 CCTV를 설치해
‘인천대교㈜’ 상황실에서 24시간
감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차량 정차 후 투신까지 시간이 짧아 난간의 높이를 높이거나 안전 펜스와 다른 예방 구조물을 설치해야 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5~6월 5건의
추락 사망사고가 발생한 후 인천시자살예방센터는 인천대교 운영사 관계자를 만나 안전 난간 설치를 요구했지만 투신 방지를 위해 철제 난간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 교량에 무리가 가서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안전 난간 설치는 전문가 의견을 들어 신중하게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지만 이후로 후속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 또한 인천대교주식회사가 공공기관이 아닌 민자사업자라 안전 대책을 강제할 수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은 지난달 6일 국토교통위 국정감사에서
“(인천대교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도로가 아니니까
시설 투자를 하지 않고 있고, 민자도로는 얼마 안 있으면 정부에다 기부채납 해야 되니까 헛돈 들일 필요가
없어서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인천대교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장소는 전 구간이 아니고 일부에 불과해 추락방지시설 설치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실제로 과거 150건 넘는 투신 시도가 있던 경인아라뱃길 하류의 시천교는
다리 난간을 1.4m에서 2.8m로 높이고 윗부분을 안쪽으로
휘어지도록 보수한 후 추락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택수 한국자살예방센터 센터장은 난간을 2.8m 이상 최대 3미터 정도로 설계해 사람들이 도저히 올라갈 수 없도록 설계해 구조적인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