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2025년부터 개정되는 새 교과서에서 ‘성소수자’, ‘성평등’ 용어가 제외되고 ‘자유 민주주의’ 용어가 추가됩니다.
9일 교육부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안’을
발표하며, 교과서 용어 개정 집필 기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우선 사회와 도덕, 보건 교육 교과서에서 ‘성소수자’와 ‘성평등’ 용어가 사라집니다.
대신 ‘성별 등으로 차별 받는 소수자’, ‘성에 대한 편견’, ‘성차별의 윤리적 문제’ 등으로 대체됩니다.
장홍재 교육부 학교교육지원관은 “사회적 소수자를 교과서에 명시하는
것 자체가 제3의 성을 조장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반영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민주주의’ 표현 앞에는
‘자유’를 넣기로 했습니다.
단, 기존의 민주주의 표현을 모두 대체하는 것이 아닌 ‘자유
민주주의’가 포함된 문장을 추가로 반영했습니다.
‘민주주의’와 ‘자유 민주주의’ 서술은 교과서 개정마다 정권에 따른 표현 논란을 불러왔습니다.
2011년 이명박 정부 당시 개정 교과서에 민주주의를 자유 민주주의로
수정했고 박근혜 정부도 이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이후 문재인 정권 당시 자유 민주주의를 다시 ‘민주주의’로 바꾸고 해설부분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표현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이번에 개정되는 교육과정에는 성취기준과 해설 부분 모두 ‘자유 민주주의’ 표현이 사용됩니다.
교육부는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 성취기준 해설에 ‘자유 민주주의’와 ‘자유
민주적 기본질서’를 반영해 대한민국 정통성을 명확히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9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논평을 통해 “역사 교과 교육과정에서 자유민주주의라는 용어를 무리하게
끼워 넣으면서 문맥에도 맞지 않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도덕 교과서에는 ‘성평등’이라는 지극히 당연한 용어를 ‘성에 대한 편견의 문제점’, ‘성차별의 윤리적 문제를 이해’ 등으로 에둘러 표현했다”며 “성별, 연령, 인종, 국적, 장애 등을
이유로 차별 받는 사회 구성원 등을 사회적 소수자’라고 표현해 차별의 범위를 넓혔지만, ‘성소수자’라는 용어를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에 불과하다”고 비판했습니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행정예고 기간은 11월 9일부터 20일 동안으로
최종안은 국가교육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30일 최종 고시됩니다.
이후 확정된 교육과정은 2024년부터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됩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2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3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4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