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미국·EU 무역협상 타결…미국, EU산 수입품에 15% 관세 부과

▷ 트럼프 “역대 최대 규모의 합의”
▷ EU, 10% 관세 요구했지만 15%로 협상 타결
▷ EU, 미국에 6,000억 달러 투자 및 에너지 7,500억 달러 구매 예정

입력 : 2025.07.28 17:30 수정 : 2025.07.28 17:41
[외신] 미국·EU 무역협상 타결…미국, EU산 수입품에 15% 관세 부과 지난 2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우)와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무역협상을 진행했다. (사진= 연합뉴스)
 

[위즈경제] 전희수 기자 = 지난 27일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소유의 스코틀랜드 골프장에서 무역 협상 끝에 합의를 발표했다. 이번 협정으로 미국은 EU산 수입품에 대해 15%의 일괄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BBC, CNN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산 수입품에 대한 30% 관세 부과 시한인 8 1일을 앞두고,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회담을 통해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데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후 우리는 합의에 도달했다. 모두에게 좋은 합의라며 이로써 미국과 EU는 더욱 가까워질 것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EU가 기준 관세를 10%로 요구한 데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EU 전체에 15%보다 낮은 관세율을 적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BBC에 따르면,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힘든 협상이었지만 양측 모두에게 좋은 결론에 도달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를 통해 “EU가 미국에 군사 장비를 포함해 총 6,000억 달러( 830조 원)를 투자하고, 7,500억 달러( 1,037조 원) 규모의 에너지를 구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를 포함한 모든 국가가 관세 없이 미국과의 무역을 더욱 개방할 것이며, 막대한 양의 군사 장비도 구매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향후 3년간 미국의 액화천연가스, 석유, 핵연료에 대한 투자가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유럽 주요 국가들도 이번 무역 협정에 환영 입장을 밝혔다

 

지난 27일 미국과 EU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사진= 연합뉴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X(구 트위터)를 통해 “EU의 단결과 협상자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EU와 미국간 관세 협상에서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수출 지향적인 독일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었지만 이를 피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CNN에 따르면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적절한 판단을 내리기 전에 세부 내용을 신중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마이클 마틴 아일랜드 총리도 그의 X를 통해양측의 무역 회담 결과를 환영한다면서도 관세 인상으로 양국 간 무역 비용이 이전보다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번 15% 관세는 EU 27개국에서 수입되는 주요 품목인 자동차, 의약품, 반도체 등에 적용된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은 지난해 미국의 EU 수입 품목 중 최대 규모로, 1,550억 달러( 214조 원)에 달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8 1일부터 미국 외에서 제조된 의약품에 대해 2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월에 EU산 상품에 20%상호주의관세를 부과했고, 5월에는 협상 진전이 없다는 이유로 6 1일부터 EU상품에 50%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바 있다.

 

7 13일에는 EU산 자동차 관세 25%부문별 관세를 제외한 모든 수입품목에 대해 30% 일괄 관세를 예고하며,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에게 무역 적자로 인한 협력 합의 및 공정 무역 결정에 대한 서한을 트루스 소셜에 게시하기도 했다.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30% 관세 부과에 대해 대서양 양쪽의 공급망, 기업, 소비자 모두에게 타격을 줄 것이라며 필요한 경우 비례적 대응을 포함한 EU 이익 보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한편 BBC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 타결 시한이 8 12일로 설정돼 있으며, 양국은 현재 관세 유예 조치를 시행 중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중국산 상품에 대해 기존 145%에서 50%, 중국은 미국산 상품에 대해 기존 125%에서 최소 10%로 관세를 각각 인하한 상태다.

 

현재 미국과 중국은 90일간 관세 유예 중으로, 해당 조치는 올해 초 미국과 중국의 고위 관리들이 제네바와 런던 회동 이후 이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50%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며, 다른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관세 협상도 8 1일 이전 타결이 목표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국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 기한까지 어떤 전략과 조치를 취할지 주목된다



 
전희수 사진
전희수 기자  heesoo5122@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