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개인의 잘못 VS 모두의 책임, 이태원 참사 갑론을박

입력 : 2022.11.08 11:20 수정 : 2022.11.08 11:19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기성세대로서 너무나 미안할 따름입니다”


지난 5일 방영된 ‘그것이 알고싶다’ <핼러윈의 비극, 외면당한 SOS>편에서 진행을 맡은 김상중의 마무리 멘트를 두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알은 이날 방송에서 이태원 참사의 원인은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을 알았음에도 당국이 사고 예방과 대비에 힘쓰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김씨는 방송에서 “분향소를 찾은 일반 시민들이 가장 많이 남긴 말은 ‘미안하다’였다”“희생자 대다수는 20~30대 청년들로 이들은 만원 버스와 지옥철을 타며, 학업과 취업 준비로 스트레스를 받고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숨 막히는 시간을 보냈다”고 했습니다. 

 

이어 “많은 젊은이들이 왜 이토록 참혹하게 생을 마무리해야 됐는지 기성세대로서 너무 미안할 따름”이라며 “내 가족이 사망한 것처럼 진심으로 슬퍼하고 자신의 책임이라고 느낀 이들이 참혹한 비극을 수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에는 ‘이태원사건 기성세대가 뭘 미안해야 하나요?’ 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글쓴이는 “이태원 사고가 난 것은 안타깝고 돌아가신 분들과 유족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면서 “그알 마무리 멘트로 김상중님이 기성세대인 우리가 미안해야 한다는 말엔 의문이 밀려온다”고 토로했습니다. 

 

또한 가장 많은 추천을 얻은 댓글은 “내 자식 또래 아이들의 일이라 안쓰럽고 뉴스를 보면 슬프다”면서도 “할로윈은 모두가 즐기는 명절이 아니고 일부 젊은이들의 놀이 문화 정도인데 일하다 뉴스를 본 기성세대로서 뭐가 미안해야 하나”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이태원 참사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한 누리꾼은 “이태원 참사에서 기성세대가 미안해야 되는 건 세월호 이후 안전망을 구축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면서 “저도 국가가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반대하지만 기성세대로서 청년세대 아이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든다. 그리고 놀다가 죽은 것이 아니고 살아가다가 죽은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