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런 일이 있었다고? 이태원 참사에 뒤에 가려진 사건들

입력 : 2022.11.07 11:2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156(7일 기준)의 사망자가 발생한 이태원 참사에 가려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사건들이 있습니다.

 

바로 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 매몰 사고와 강화도 양구군의 군부대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입니다.

 

#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 매몰 사고

 

지난달 26일에 발생한 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 매몰 사고는 작업을 하던 광부 2명이 갑자기 밀려온 토사로 인해 지하 170m에 고립된 사건입니다.

 

사고 발생한 후 소방 당국은 구조 가능 지점까지 최소 사흘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업체 측의 늑장 신고와 잘못된 좌표에 구멍을 뚫는 등 구조가 지연되면서 열흘이 소요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고립자들은 생존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꾸준히 탈출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고 서로를 다독이며, 구조대를 기다린 끝에 무사귀환할 수 있었습니다.

 

고립자들은 지하 갱도에서 믹스커피를 마시며 체력을 유지했고 갱도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마신 덕분에 생존할 수 있었다고 현장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광산에 고립된 후 221시간 만에 생환한 2명은 이태원 참사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작업반장 박모 씨(62)는 이태원 참사를 전해듣고 놀라는 한편저희 생환이(이태원 참사로 실의에 빠진 국민들에게) 희망이 되어서 다행이라고 전했습니다.

 

#강원도 양구군 군부대 폭발 사고


지난 31일 강원도 양구에 위치한 군부대에서 물자 운반 작업 중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병사 2명이 중상을 입었고 현재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폭발 사고에 휘말린 장병 A씨는발뒤꿈치가 날아가 인공뼈를 넣고 종아리 살을 붙였다 평생 다리를 절어야 할 수 있고 극단적으로는 절단까지 해야 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앞으로 살아가 날이 많은 청춘들에게 1000만원에서 1500만원 피해 보상금과 국가유공자 혜택만을 제공하는 것이 화가 나고 안타깝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이태원 참사 등으로 이번 사고는 쉬쉬하자는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면서 군 부대의 대처를 비판했습니다.

 

이에 해당 부태는 불의의 사고로 다친 장병과 가족에게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면서부대는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해 치료와 회복, 보상 등 후속조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