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총 156명(7일 기준)의 사망자가 발생한 이태원 참사에 가려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사건들이 있습니다.
바로 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 매몰 사고와 강화도 양구군의 군부대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입니다.
#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 매몰 사고
지난달 26일에 발생한 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 매몰 사고는 작업을
하던 광부 2명이 갑자기 밀려온 토사로 인해 지하 170m에
고립된 사건입니다.
사고 발생한 후 소방 당국은 구조 가능 지점까지 최소 사흘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업체 측의 늑장 신고와 잘못된 좌표에 구멍을 뚫는 등 구조가 지연되면서 열흘이 소요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고립자들은 생존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꾸준히 탈출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고
서로를 다독이며, 구조대를 기다린 끝에 무사귀환할 수 있었습니다.
고립자들은 지하 갱도에서 믹스커피를 마시며 체력을 유지했고 갱도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마신 덕분에 생존할 수 있었다고
현장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광산에 고립된 후 221시간 만에 생환한 2명은 이태원 참사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작업반장 박모 씨(62)는 이태원 참사를 전해듣고 놀라는 한편 “저희 생환이(이태원 참사로 실의에 빠진 국민들에게) 희망이 되어서 다행”이라고 전했습니다.
#강원도 양구군 군부대 폭발 사고
지난 31일 강원도 양구에 위치한 군부대에서 물자 운반 작업 중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병사 2명이 중상을 입었고 현재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폭발 사고에 휘말린 장병 A씨는 “발뒤꿈치가
날아가 인공뼈를 넣고 종아리 살을 붙였다”며 “평생 다리를
절어야 할 수 있고 극단적으로는 절단까지 해야 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앞으로 살아가 날이 많은 청춘들에게 1000만원에서 1500만원 피해 보상금과 국가유공자 혜택만을 제공하는
것이 화가 나고 안타깝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이태원 참사 등으로 이번 사고는 쉬쉬하자는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면서 군 부대의 대처를 비판했습니다.
이에 해당 부태는 “불의의 사고로 다친 장병과 가족에게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면서 “부대는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해 치료와 회복, 보상
등 후속조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