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원 교수 "코리아디스카운트, 진짜 문제는 성장 동력 부재"
▷"기업성장동력 부족해 PBR 수치 낮아져"
▷"기업지배보다 혁신성장에 더 주력해야"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최재원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13일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지배구조와 주주환원만으로 설명이 부족하다"며 "레거시 중심 산업구조에 따른 낮은 성장성이 한국 증시의 본질적 한계"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이날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자본시장 활성화와 금융안정'을 주제로 열린 컨퍼런스에서 맡은 주제발표(주제: 자본시장 현안과제:밸류업, 가상자산, 소비자보호)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을 코리아디스카운트의 근거로 드는 시각에 대해 "실제로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PBR이 낮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PBR은 시가총액(성장가능성)을 자산가치(과거성적) 나눈 수치다. 보통 PBR이 높을수록 기업은 고평가를 받는다.
최 교수는 이마트를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했다. 이마트는 PBR이 국내 코스피 상장사 가운데 최저수준이다. 3월 기준으로 이마트의 PBR은 0.16배다. 부채를 제외한 기업의 순자산이 100만원데 시장에서는 16만원의 기업가치로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다.
그는 "이마트는 과거 성적은 화려하나 혁신성장이 아쉬운 레거시 기업 중 하나"라며 "이를 코리아디스카운트로만 설명할 수 없는 이유"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기업성장동력을 키워야 한다고 봤다. 주주환원도 중요한 문제지만 뱁류업에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기업지배와 배당성향보다 혁신성장에 더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저평가된 'K 자본시장', 향후 방향은?
2[STOCK CPR] 정보 불균형이 만든 단절…멀어지는 주식시장과 투자자
3[STOCK CPR] “국장 떠나야 되는지 하루에도 수십 번 고민”…주주들이 흔들리는 진짜 이유
4[폴플러스] 국내 주주·투자자 10명 중 9명 한국거래소 운영에 '부정평가'...원인은?
5"원화 국제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
6[폴앤톡] 한국거래소 운영 만족도 및 실태조사
7[폴플러스] 투자자 10명 중 9명,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 보호 위해 상법 개정은 필수"
8힘 못쓰는 은행권 '밸류업'..."현실적 목표설정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