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건설공제조합 인사, 공정한 절차 따라야"
▷노조, 공제조합 인사·경영 독립성 요구
▷"정부·특정 세력 개입 시 강력 투쟁 불사"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건설공제조합지부는 1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건설공제조합의 인사와 경영 구조가 정치권과 특정 세력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며 "공정한 절차에 따른 이사장 선임과 자율경영 보장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건설공제조합은 정부 출연 없이 민간 건설사들이 출자해 운영하는 금융기관이다. 자본금만 6조 6000억 원에 달하며, 전국 166곳의 영업망을 갖춘 국내 최대 건설금융기관으로 꼽힌다. 건설업계 전반의 신뢰와 직결되는 공제조합의 안정성은 그동안 중요한 과제로 지목돼왔다. 그러나 노조에 따르면, 공제조합은 지난 수년간 반복한 낙하산 인사로 자율성과 독립성이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다.
노조는 공제조합의 인력·조직 구조조정 실태를 비판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영업점은 39개에서 16개로 급감했고, 인력도 450명에서 390명으로 줄었다. 신규채용을 통한 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추가적인 인력 감축 요구가 이어진다면 사실상 정상적 운영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노조는 "공제조합의 위기는 외부 개입과 경영 개입이 낳은 결과"라며 "과도한 경영 간섭을 중단하고 재개발·리모델링 등 신규사업 추진을 통해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조는 이번 이사장 선임 과정에서 정부나 특정 세력의 입김이 작용할 경우 총파업 등 강경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현행 공제조합 운영위원회는 이사장의 상위기구로서 독립적 운영을 보장해야 한다"며 "이사장이 독립성을 잃고 특정 집단의 이익 대변인으로 전락한다면, 공제조합은 회복 불가능한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노조는 ▲공정하고 투명한 이사장 선임 절차 보장 ▲공제조합의 자율 경영 보장 및 정상화 추진 ▲운영위의 경영 개입 중단 ▲정상적 인력 채용과 감축 중단 등을 요구했다.
노조는 19일 열릴 공제조합 총회를 앞두고 "정부나 특정 세력의 부당한 개입이 있을 경우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이라며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심화되는 건설산업 어려움... 건설수주 및 건설기성 모두 침체
21월 가계대출 0.9조 감소...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수요는 여전해
3KDI, 2025년 韓 경제성장률 2.0%에서 1.6%로 하향
4김문수 장관, "임금체불에 대한 관리 더욱 강화"
5[증시 다트] 좋은 성적 거둔 삼성 E&A... '주주환원정책'에 시선 쏠린다
6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하락세... "체감경기 얼어붙고 있다"
7부진 겪는 건설산업... 올해 전망은
8[현장] "관치 금융의 산물...적격비용 재산정 폐지해야"
9[현장]양대 금융노동조합 "국가 경제 위해 尹 탄핵하라"
Best 댓글
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2박주민 의원은 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김현아 회장님 앞에서 분명히 말했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하고 탈시설 말하는 자립지원법안은 잘못된 법안이라고. 그렇게말했던 보건복지위 박주민 의원이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중증장애인들을 두번 울리는 박주민 의운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자립지원법안을 폐지할 것을 촉구합니다!
3잘못된 법안은 불법입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현실에 맞는 법을 만들어야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에게는 자립지원법안은 생명을 위협하는 법안입나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사형법안입니다. 폐지 되어야합니다.
4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5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6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7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