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되는 건설산업 어려움... 건설수주 및 건설기성 모두 침체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5년 2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
▷ 수도권에서도 주택매매가격 하락하며 부동산 시장도 부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국내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이 더욱 심화되는 모양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2025년 2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건설수주는 총 22조 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수주 중에선 토목수주가 크게 위축(-62.3%)되면서 같은 기간 45.1%나 감소했고, 민간수주는 토목과 주택수주의 영향으로 5.8% 증가하긴 했으나 감소세를 메꾸기엔 역부족이었다.
12월 기준 각종 건설물가는 전월보다 소폭 상승했는데, 환율로 인해서 건설 중간재 수입품 물가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은행의 국내 공급물가지수 자료 분석에 따르면, 중간재건설용 수입물가가 한달 사이에 6.0%에서 9.2%로 큰 폭으로 상승한 바 있다.
2024년 12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01만 명으로 8개월 연속으로 줄어들었고, 이에 대해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기성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건축공사물량 위축으로 인한 투입 인력이 감소한 가운데 정부 토목공사 물량 감소 영향도 함께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2월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공공 주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도 8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는 어두운 전망을 밝혔다.
건설이 위축되자 부동산 시장 거래도 함께 흔들리고 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2025년 2월 KB주택시장리뷰'에 따르면,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매수세가 위축, 수도권조차도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불확실성이 계속되면서서, 1월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전월보다 0.12% 감소하며 2개월 연속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수도권(-0.08%)은 서울에서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에 하락장에 들어섰다. 서울은 거의 유일하다시피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올해 1월 들어서 주택가격이 하락하는 지역이 5곳에서 9곳으로 늘었다.
그 영향으로 12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4.6만 건을 기록했다. 수도권(-7.1%)과 비수도권(-6.0%) 모두 거래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수도권은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연속으로 감소세이다.
1월 기준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1만 호로, 지난해 12월에 비해 반토막났음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아파트는 큰 폭으로 늘었다.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7만호로 전월 대비 5천 호 증가했으며, 특히 주인을 찾지 못한 준공후 미분양 아파트의 증가폭(2,826호)이 상당하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2박주민 의원은 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김현아 회장님 앞에서 분명히 말했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하고 탈시설 말하는 자립지원법안은 잘못된 법안이라고. 그렇게말했던 보건복지위 박주민 의원이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중증장애인들을 두번 울리는 박주민 의운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자립지원법안을 폐지할 것을 촉구합니다!
3잘못된 법안은 불법입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현실에 맞는 법을 만들어야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에게는 자립지원법안은 생명을 위협하는 법안입나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사형법안입니다. 폐지 되어야합니다.
4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5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6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7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