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0.2p 증가... 수도권은 주춤
▷ 9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86.2 기록 ▷ 대출 규제로 수도권에선 주춤, 비수도권은 약간 상승
경제 > 부동산 | 김영진 기자 | 2024.09.16
내년도 국토교통부 예산안 60.6조 원 편성... '국민 주거 안정'에 초점
▷ 윤 정부 '긴축재정 기조' 반영... 올해 대비 4.9조 원 증가 ▷ '국민 주거 안정'에 36.7조 원 편성, 증가폭 가장 커 ▷ 반면, 국토 교통 미래 분야에선 예산 깎아
경제 > 부동산 | 김영진 기자 | 2023.08.30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이번에는 절대 넘어가지 않을 것"... LH 전면쇄신 예고
▷ LH 철근 누락 적발... 원 장관, "책임자로서 마음 무거워" ▷ 국토교통부와 적극 협력 중인 서울시... "위법행위 엄중 조치"
경제 > 부동산 | 김영진 기자 | 2023.08.07
'철근누락' LH, 주민 설명회 열고 카르텔 근절 전담조직 신설한다
▷선 안전조치 후 피해보상 방침…입주 전 단지 일부는 계약금 환불 ▷건설업계 카르텔 근절 조직 신설..."근본적 제도 개선 추진"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8.02
'철근 누락' LH 아파트 명단 공개..."건설이권 카르텔 발본색원 해야"
▷91곳 중 15개 단지서 철근 누락 ▷원희룡 "책임자로서 국민께 사과 말씀 드린다"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8.01
한국 부동산 시장, 어두운 터널 지났다?... 낙관론 대두
▷ 하나금융연구소, "부동산 시장 회복 모멘텀 우세" ▷ 부동산 투자 수요 증가, 매수/매도 심리 완화 등 ▷ 지역적으로 회복세에 차이 있어
경제 > 부동산 | 김영진 기자 | 2023.07.19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시공과 설계서 총체적 문제"
▷설계·감리·시공 등 부실로 인한 전단보강근 미설치 등 원인 ▷무량판 구조의 심의절차 강화 등 재발방지책 마련 ▷시공사 GS건설 "책임 통감...사고 수습에 만전"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7.05
붕괴 사고난 정자교 시공사..."올림픽대교∙광안대교 설계도 맡았다"
▷'캔틸레버' 공법이 정자교 붕괴의 원인일 가능성 제기 ▷성남시, 정자교와 동일한 공법으로 건설된 교량에 지지대 긴급 설치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3.04.10
노조 강력히 압박하는 尹... 정부와 노조 간 갈등 불가피
▷ 정부 노조 갈등 본격화... 尹, "혁신에는 기득권에 저항 따라" ▷ 건설노조에 대한 압박 수위 올려, '월례비' 등 불법적인 행위 엄정 대응 ▷ "노조탓만 한다"는 건설노조... 28일 오후 대규모 집회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2.28
분양가 상한제, 개선했는데 분양가가 오른다고?
▷ 택지비와 건축비를 합한 분양가를 규제하는 '분양가 상한제' ▷ 앞으론 정비사업 추진 시 필요한 필수 비용 분양가에 반영 ▷ 분양가 상한제 정비로 분양가가 오를 여지가 다분해
경제 > 부동산 | 김영진 기자 | 2022.06.22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