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 공대위·민변, "동물권행동 카라, 노동탄압 중단하라"
▷21일 국회 소통관에서 카라의 노동탄압 중단 및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 개최 ▷”하루빨리 노조 파괴를 멈추고 카라의 투명하고 민주적인 운영 요구”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5.02.21
[국정조사45日]이태원 국조 청문회 요약…'책임회피' '이상민 공방'
▷경찰 대응 질타…변명 일관에 의원 비난 쏟아져 ▷2차 청문회, 野‘이 장관 사퇴’vs與‘누굴 위한 청문회’ ▷국조특위 활동시한 17일까지 10일 늘려
기획·연재 > 기획특집 | 류으뜸 기자 | 2023.01.06
이상민 장관 해임건의안, 예산안 처리 막판 변수 될까?
▷8일 국회 본회의서 이 장관 해임안 보고 예정 ▷국민의힘 반발...내년도 예산안 처리 영향 미칠듯
사회·정치 > 정치 | 류으뜸 기자 | 2022.12.08
[르포] 분향소 철거 하루 전…여전히 끊이지 않는 추모의 발길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2.11.07
행정당국, 계속된 이태원 참사 회피성 발언에…여론 뭇매
▷이 장관, 논란의 발언 해명…유승민 “파면해야” ▷용산구청장과 경찰도 계속된 회피 발언 쏟아내
사회·정치 > 정치 | 류으뜸 기자 | 2022.11.01
이태원 참사 前 다수의 신고 받은 경찰...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수사한다
▷ 윤희근 경찰청장 브리핑, "참사 전 다수 112 신고 확인" ▷ 신고 대응 미흡했다고 인정... 엄정한 수사 진행 예정 ▷ "살을 도려내는 심정으로 최선을 다하겠다"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2.11.01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에게 장례비와 치료비, 위로금 지급... 찬반 여론 일어
▷ 오는 11월 5일까지 '국가애도기간' 선포 ▷ 사망자 1인당 1,500만 원 장례비 지원 등 다각도 지원 ▷ "왜 장례비를 세금으로"... 반대 여론 多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2.10.31
국내 역대 최악의 압사사고... 해외 사례는?
▷ '이태원 참사' 사인, '질식에 의한 외상성 심정지' ▷ 뇌에 산소가 가지 않는 '뇌사' 상태 이르러 ▷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등 압사 사고 겪어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2.10.31
이태원 참사, 왜 막을 수 없었나?
▷31일 기준 인명피해 303명…사망자 중 여성 98명∙남성 56명 ▷비좁고 경사진 골목에 사람 몰린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 ▷적절한 대비를 하지 않은 경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 나와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류으뜸 기자 | 2022.10.31
이태원 참사... 美·中·英 등 각국 정상 애도의 뜻 전해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비롯한 각국 정상... "피해자와 유가족들에게 깊은 애도" ▷ 최근 우리나라와 사이 미묘한 러시아와 중국도 슬픔의 뜻 전해 ▷ 각국 외신들도 대대적으로 타전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2.10.31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