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0

정동영 의원.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26년 예산 中‘AI 팩토리’1,100억 증액 필요해”

▷한국, ‘피지컬AI 중심지’로 독보적인 경쟁력 갖춰야 ▷26년 예산 ‘AI팩토리’ 400억 배정... 독보적인 경쟁력 갖추려면 최소 1,100억 증액 필요 ▷정동영 의원 “미국 관세에도 흔들리지 않는 독보적인 피지컬AI 경쟁력 확보해야” ▷전북, 추경 382억(국비229억)·5년간 1조 사업 확정·예타 면제... ‘피지컬AI 실증 도시’준비 완료

사회·정치 > 정치    |   류으뜸 기자    |   2025.09.02

지난 19일에 만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우)과 신창싱(Xin Changxin) 중국 장쑤성 당서기(우)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中 광동성에 이어 장쑤성까지... 경제적 공급망 및 협력 강화한다

▷ '제6회 韓-中 경제무역협력교류회' 개최... "신산업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 지난 14일에는 광동성과 발전포럼 열어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6.20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정부, 잠비아 찾아 '부산세계박람회' 알렸지만... 새만금 잼버리 실패 떨쳐낼 수 있을까

▷ 잠비아 찾은 박진 외교부 장관... "부산세계박람회에 대한 잠비아 지지 요청" ▷ 외신은 새만금 세계잼버리 실패 지적... "정부의 잘못된 운영" ▷ 박 장관, 물렌가 장관 만나 공급망 협력 논의

사회·정치 > 정치    |   김영진 기자    |   2023.08.11

잼버리 참가자 3만7천명 전국 각지로 대이동…K팝 공연∙퇴영식 11일 서울서

▷태풍 카눈 피해 잼버리 참가자 3만7000여명 전국 각지로 대피 ▷서울시, 응급 환자 대비한 ‘서울 비상의료상황실’ 운영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8.09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김기현 “잼버리에 쓰인 1000억원 이상의 돈 어디로 증발했나”…날선 비판

▷김기현, “잼버리 예산 세부 집행내역 추후 면밀히 따져봐야” ▷전북도∙부안군 등 8년간 총 99번 해외 출장 나서…잼버리 무관한 출장도

사회·정치 > 정치    |   이정원 기자    |   2023.08.07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폭삭 망한' 새만금 잼버리?... 정치권에선 '네 탓' 공방

▷ 미국, 영국 등 참가자 속속 이탈한 '새만금 세계 잼버리'... 사태 수습 나선 정부 ▷ 국민의힘, "문재인 정부와 전북도에 책임 물을 것" ▷더불어민주당, "여지없이 전 정권 탓... 취임 15개월 동안 무엇을 했는가"

사회·정치 > 정치    |   김영진 기자    |   2023.08.07

(출처=클립아트코리아)

폭염과 코로나로 혼란의 도가니된 잼버리…尹, “현장문제 총력 다하라”

▷대규모 청소년 국제행사 잼버리에서 다수의 온열질환자에 이어 코로나19 환자까지 속출 ▷미국∙영국 잼버리 사태와 관련해 “한국 정부와 소통 중”

사회·정치 > 정치    |   이정원 기자    |   2023.08.04

(출처=클립아트코리아)

"노후산단 살리겠다"는 정부... 새만금 국가산단은 승승장구

▷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사업지구 후보지 선정... 전남, 부산, 인천 세 곳 ▷ 탄소중립, 청년 인구 유입, 정주여건 개선 등 방향성 유사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4.20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와 포항시, 이차전지 산업 분야 선도할까

▷ 어려운 수출 여건 속 선방한 국내 이차전지 산업 ▷ 새만금개발청에 부는 이차전지 열풍... 기업들 경쟁 심화 ▷ '포항공대', '포스코' 있는 포항시,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에 총력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2.27

새만금국제공항 개발사업 조감도. (출처=국토교통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새만금국제공항

▷ 정부, 2029년까지 새만금국제공항 개항 위한 기본계획 발표 ▷ 예상수요 적어 자칫 세금낭비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 있어 ▷ 유네스코 등재된 서천갯벌과 멸종위기 서식지 사라진다는 주장도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류으뜸 기자    |   2022.06.30

  • 1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