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잼버리에 쓰인 1000억원 이상의 돈 어디로 증발했나”…날선 비판
▷김기현, “잼버리 예산 세부 집행내역 추후 면밀히 따져봐야”
▷전북도∙부안군 등 8년간 총 99번 해외 출장 나서…잼버리 무관한 출장도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번 잼버리 대회
준비를 위해 그간 투입된 정부∙지자체 직접예산은 1000억원 이상으로 가히 천문학적 액수”라면서 “그런 엄청난 예산이 제대로 집행됐다면
최상급의 인프라를 갖췄어야 마땅했고, 역대 최고의 잼버리라는 안팎의 호평을 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도대체 그 돈이 다 어디로 증발했나요”라고 물으며 “기가 막히게도 ‘잼버리 1000억원 예산’의
상당 부분이 불필요한 용처에 과용되거나 심지어 흥청망청식 외유성 해외출장 잔치에 탕진되었음이 드러나고 있어 참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김 대표는 전라북도∙부안군∙새만금개발청
등 잼버리 준비에 관계기관 공문원들에 대해서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그는 “이번 2023 잼버리
준비를 위해 관계기관 공무원들은 8년간 총 99번의 해외
출장을 갔다고 한다”라며 “’세계잼버리
성공개최 키맨 면담 및 사례조사’를 하겠다며 공무원들이 스위스∙이탈리아 6박 8일 출장길에 올랐으나, 실제로는
첫날 유럽스카우트 이사회 전(前) 의장을 만나고, 둘째 날 세계스카우트센터를 방문한 게 전부라고 한다. 이들이 남은
기간 잼버리 유치 경험도 없는 유명 관장지를 찾는 일정만큼은 꼭 챙겼다”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공무 목적으로 세금 들여 간 출장에서 이게 무슨
짓입니까”라며 “이쯤 되면 이건
대국민 사기극이고 공금횡령 수준이 아닐까싶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쩌면 이것은 빙산의 일각인지도 모르겠습니다”라며 “그간 세금이 어떻게 쓰였는지 세부
집행내역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혹시 예산에 빨대를 꽂아 부당이득을 챙긴 세력은 없었는지 그 전망을
소상히 파악해, 이런 못된 짓을 하는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2023 세계스카우트 잼버리’를
앞두고 잼버리 축제를 배우겠다며 지난 8년간 5개 기관이
총 99번 해외 출장을 다녀온 사실이 중앙일보 보도를 통해 전해졌습니다.
기관별 출장 건수는 전북이 55회로 가장 많았고, 부안군 25회, 새만금개발청
12회, 여성가족부 5회, 농림축산식품부 2회 순이었습니다.
문제는 일부 해외 출장의 경우 세계 잼버리가 열린 적이 없는 스위스나 이탈리아,
중국, 프랑스 등에서 이뤄졌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부안군의 경우, 잼버리 개최가 확정된 후 ‘크루즈 거점 기항지 조성을 통한 잼버리 개최지 홍보’란 명목으로 2019년 10월 중국 상하이로 최장 6박7일간 크루즈 팸투어를 떠났고,
2019년 12월에는 대만 타이베이 101타워
및 지룽 크루즈터미널 등을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에 일각에서는 5개 기관의 해외 출장에 대해 ‘외유성’ 답사를 간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