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2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9월 들어 열흘간 수출 186억 달러 기록... 반도체 수출 38.8% ↑

▷ 9월 1일 ~ 10일 사이 수출 186억 달러, 수입 184억 달러 기록 ▷ 반도체 수출 견고한 성장세... 비중 확대 ▷ KDI,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경제 부진은 지속돼"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9.11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청년층 중심으로 부상 중인 '요노 소비'...소비자의 마음을 잡으려면?

▷청년층 소비 트렌드 욜로에서 요노로 변화...'선택과 집중' 위한 소비 경향 강화 ▷"요노 시대에 청년층 맞춤형 마케팅 전략 추진 필요할 것"

경제 > 경제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9.02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외신] IMF, "미국 정부 부채 심각해... 느슨한 재정 정책이 문제"

▷ IMF, "미국 정부의 과도한 부채가 세계 경제 위기 유발" ▷ 장기간 금리 인상 기조로 환율 문제 재차 부각...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서도 중요하게 논의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4.18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지난 3월 가계대출은 ↓, 기업대출은 ↑

▷ 2024년 3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 4.9조 원 감소, 은행권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세 주춤 ▷ 스트레스 DSR 본격적인 효과 발휘 ▷ 은행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기업대출은 확대, 자금 수요와 맞물

   |   김영진 기자    |   2024.04.11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서울시민, 가구당 평균 9,210만 원 대출 보유

▷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 서울시민 가구당 총자산 평균 9억 5,361만 원 ▷ 주로 1인가구 및 청년에게 부채상환 위험률 집중 ▷ 가구순자산도 지난해에 감소추세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2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20대 이하',주담대 연체율 최고치..."관련 규제 정교하게 설정해야"

▷전체 주담대 연체율·연체액도 1년 사이 2배로 ▷"주택담보대출의 심사 및 위험관리 시스템도 강화해야"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12.11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한 김주현 금융위원장 (출처 = 금융위원회)

김주현 금융위원장, "가계부채, 은행권이 적극 관심가져야"

▷ 금융당국, 은행권 대상 간담회 개최 ▷ 김 위원장, "가계부채, 금융시스템 안정성 크게 저해할 상황 아니지만 위험해"

경제 > 금융    |   김영진 기자    |   2023.11.27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주담대 한달 새 2.8조 증가...원인은?

▷5대 시중은행 주담대,한 달간 2조8591억 급증 ▷김남근 위원장 "특례보금자리론과 50년 장기모기지론 영향" ▷전문가 "구체적 대책마련 및 정부와 한은 간 지속적 의견 교환 필요"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10.05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팬데믹이 불러 온 '초과저축' 열풍... 100조 원 넘어

▷ 한국은행 초산, 초과저축 규모 101~129조 원... 민간소비의 9.7~12.4% 수준 ▷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초과저축' 선택한 건 아냐... 소비와 소득의 영향 ▷ 초과저축 자금 주택시장으로 유입되면 금융시장 불안 유발할 가능성 有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7.26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셋값 두고 엇갈린 전망

▷부동산R114, 서울 매매·전셋값 약 1년 만에 '보합' ▷"정부 역전세 선제 대응…시장 회복세 이어질 듯" ▷"금리·집값 여전히 높아...거래 활성화 지속 어려워"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7.07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