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IMF, "미국 정부 부채 심각해... 느슨한 재정 정책이 문제"

▷ IMF, "미국 정부의 과도한 부채가 세계 경제 위기 유발"
▷ 장기간 금리 인상 기조로 환율 문제 재차 부각...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서도 중요하게 논의

입력 : 2024.04.18 16:48 수정 : 2024.04.18 16:48
[외신] IMF, "미국 정부 부채 심각해... 느슨한 재정 정책이 문제"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의 부채는 심각한 경제 문제 중 한 가지로 꼽힙니다

 

국제통화기'금(IMF)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의 부채(General Government Gross Debt)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2029년까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2023년 우리나라 정부 부채는 이미 GDP의 절반을 넘긴 55.2%, 2029년에는 그 비율이 59.4%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증가하는 부채로 인해 재정 안정성을 위협받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만이 아닙니다.일본(251.7%), 싱가폴(165.6%), 이탈리아(144.9%), 벨기에(115.6%), 프랑스(115.2%) 등 숱한 선진국이 과도한 부채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골몰하고 있는데요.

 

특히, IMF는 미국의 과도한 부채가 세계 경제에 큰 위기를 몰고올 것이라는 경고를 남겼습니다. IMF는 미국 정부의 부채가 2023년 GDP 대비 122.1%에서 2029년 133.9%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했는데요.


IMF는 미국 정부의 과다한 부채 때문에 글로벌 금융 안정성이 훼손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출을 늘린 미국 정부는 그만큼 많은 부채를 떠안을 수밖에 없고,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금리 인상은 국채 등에 영향을 미쳐 다른 나라의 금리 인상을 부추긴다는 이야기입니다. 

 

비토 가스파르 IMF 재정국장은 미국의 느슨한 재정 정책은 글로벌 금리와 달러에 상승 압력을 가하고 있다”(“Loose fisc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exerts upward pressure on global interest rates and the dollar”), 전 세계의 자금 조달 비용을 증가시켜 위험을 더욱 악화시킨다”(“It pushes up funding costs in the rest of the world, thereby exacerbating existing fragilities and risks”)고 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요소가 바로 미국의 국채입니다. 국채, 즉 채권의 가격은 금리와 반비례의 관계에 놓여있습니다.


금리를 올리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고, 반대로 내리면 채권의 가격은 올라갑니다. 채권의 가격이 저렴하면 저렴할수록, 채권의 수익률은 자연스레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국채를 발행한 미국 정부 입장에서는 금리를 올리는 것이 부채 상환에 훨씬 유리한 셈입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지난 16일에,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지표에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피력한 후, 미국의 국채 수익률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는데요.

 

문제는 미국 정부의 급등하는 국채 금리가 차용인을 압박하며, 달러의 가치도 함께 상승시킨다는 점입니다. 토비아스 아드리안 IMF 통화자본시장국장은 전 세계적으로 채권 수익률이 높으면 높을수록, 차용인은 부채상환이 더욱 어려워질 것”(Globally, borrowers would find it harder to service debt, given higher bond yields”)이라며, “높고 불안정한 금리가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High and volatile interest rates make the situation worse”)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게다가, 이미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가 환율의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첫 지난 17(현지시각)에 열린 첫 한미일 3국 재무장관회의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의 재무장관이 환율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했을 정도입니다. 공동선언문에는 우리는 기존 G20의 약속에 따라 외환시장 진전 상황에 대해 긴밀히 협의할 것이며, 최근 엔화와 원화의 급격한 평가절하에 대한 일본과 한국의 심각한 우려를 인지하였다고 담겼는데요.


결국 핵심은 결국 미국 정부가 떠안고 있는, 35조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규모의 부채입니다. CNN에 따르면 IMF미국 정부의 느슨한 재정 정책이 이미 막대한 규모의 부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을 연준의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는 최종 목적의 장애물이 될 것”(“Loose US fiscal policy,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country’s already hefty debt burden, could make ‘the last mile’ of getting inflation back down to the Fed’s target harder to achieve”)이라고 지적하며, 효과적인 재정 정책을 요구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대한민국은 거주이전에 자유가 보장되는 나라인데 왜 당사자에 의견은 무시하고 제삼자가 탈시설하라 난리인가요? 이것도 인권을 무시하는 처사가 아닌가요?

2

자립지원이라는 이름으로 결국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목적으로 하는 악법입니다 장애의 특성 유형과 싱관없이 모두 자립해야힌다는 장애의 이해를 전혀하지못히는 몰상식한 법안은 누구를 위한 법입니까? 말도 못하는 중증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은 누가 책임지나요?

3

절대 반대합니다. 인간을 망치는 악법 절대 반대합니다.

4

학생뿐 아니라 모든 인간의 인권은 보장되어야하고 모든 사람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며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이뤄나가야 하는것이지 특정집단을 위한답시고 법을 계정하는것은 계속해서 분란만 만들뿐입니다 민주당은 계속 이상한 법들좀 만들지 않았음 합니다

5

중증발달장애인에게 시설은 선택이 아니라 생명줄입니다. 시설은 감옥이 아닙니다. 어린아기 수준의 장애인들에게 탈시설이 의미가 있겠습니까? 각자 장애에 맞는 주거권을 나라에서는 보장햬야 합니다. 탈시설로 몰아가는 것은 폭력이며 중증발달장애인의 삶을 벼랑으로 몰고 가는 것입니다. 탈시설 조례안은 폐지 되어야 합니다. 전장연은 이일에 당사자가 아님니다. 각자 장애에 맞는 주거권이 필요합니다.

6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이 아니고 요양시설입니다.24시간 돌봄과 의료인력이 상주한 요양기능이 꼭 필요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이 전장연 그들의 이권에 이용되지 않도록 탈시설지원 조례는 반드시 폐지 되어야 합니다.

7

절대 반대합니다 나라가 뒤집히는 악법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