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금은 대(大) 생성형 AI 시대…국민 4명 중 1명 “사용 경험 有”

▷방송통신위원회, ‘2024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 발표
▷국민 4명 중 1명은 생성형 AI 이용 경험 있어

입력 : 2025.05.29 14:00 수정 : 2025.05.29 14:46
지금은 대(大) 생성형 AI 시대…국민 4명 중 1명 “사용 경험 有”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민 4명 중 1명은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써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포털과 유튜브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해서는 불법정보 노출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29일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태도, 수용성 등을 폭넓게 조사한 ‘2024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능정보화 기본법에 따라 2018년부터 시행됐으며, 지능정보 기술 및 서비스 확산에 따른 이용자 중심의 방송통신정책 개발을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국 17개 시도 만 15~69세 이하 442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우선 생성형 AI 이용 현황 조사 결과, 이용 경험과 유료 구독 경험 비율이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24.0%가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해 전년 대비 2배(11.7%p) 가까이 증가했다. 또한 생성형 인공지능의 유료 구독 경험은 7.0%로 조사돼 전년도 0.9%와 비교했을 때 약 7배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 현황별로는 텍스트 생성(57.2%) 음성·음악 생성(21.4%) △이미지 생성(11.8%) 순으로 나타났으며, 텍스트 생성이 대다수(81.0%)를 차지했던 전년도와 달리 생성형 AI를 다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이용 동기는 정보 검색에 효율적(87.9%)’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일상 업무를 지원하는 데 도움(70.0%)’, ‘대화 나눌 상대가 필요해 사용(69.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높은 지식수준을 요구해 이용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65.2%)’를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개인정보가 유출될 것 같아서(58.9%)’, ‘이용하기 복잡할 것 같아서(57.3%)’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도와 같은 결과로, 이용자 역량 강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역기능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특히, 일자리 대체(60.9%) △창의성 저하(60.4%) △저작권 침해(58.8%) △범죄 악용 가능성(58.7%) 등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정보 서비스 이용 경험이 가장 많은 분야는 소비(53.9%) △금융(51.7%) △미디어(37.8%) 순이었으며, 전년 대비 이용 경험이 증가한 분야는 헬스(37.4%) △의료(19.7%) △금융(51.7%)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용자의 삶을 개선시켜 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로는 의료(92.4%) △금융(88.9%) △소비(84.6%) 순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년도와 동일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통위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행태와 인식 및 우려 사항 등을 면밀하게 검토해 향후 이용자 보호 정책을 마련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