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가구당 평균 9,210만 원 대출 보유
▷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 서울시민 가구당 총자산 평균 9억 5,361만 원
▷ 주로 1인가구 및 청년에게 부채상환 위험률 집중
▷ 가구순자산도 지난해에 감소추세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서울시에 거주하는 382만 가구(740만 명)의 시민생활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서울시민 가구당 총자산은 평균 9억 5,361만 원, 연평균소득은 가구당 7,369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출의 경우 평균 9,210만 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출이 있는 1인가구 5명 중 1명은 소득대비 부채상환 위험이 큰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청년 1인 가구는 소비의 절반 이상(평균 53.7%)을 ‘전자상거래’와 ‘외식’에 할애하는 반면, 노년 1인 가구는 ‘소형 유통점’과 ‘의료’에서 주로 사용(평균 47%)했습니다.
지난 22일, 서울시는 서울시민 740만 명의 주거, 소비, 금융 패턴 등의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를 공개했습니다.
이번에 발표한 재현데이터의 주제는 금융과 소비패턴으로, 2022년 3분기 기준, 신용정보를
보유한 만 18세 이상 모든 서울시민들의 주민등록자료, 건축물대장, 민간3사(신용정보회사, 카드사, 통신사) 데이터의
자산, 소득, 소비 현황을 담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분석 결과, 대출이 있는 1인가구 약 62만 중 23.2%, 다인가구 약 140만 중 13.3%가 연소득대비 부채잔액비율(DTI)가 300%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시 1인 가구 10명 중 2명, 다인가구 10명 중 1명이 대출로 인한 경제적 불안한 상황을 겪고 있는 셈인데요.
부채 보유 규모는 다인가구가 1인가구를 상회하였으나, 위험률은 1인가구가 더 높은 겁니다. 가구주의 연령대 별로 살펴보면, 1인, 다인가구 모두 청년이 각각 27%, 21.4%로 부채상환 위험률이 가장 컸습니다. 그 다음이 노년(65세 이상), 중장년(40세 이상 ~ 65세 미만)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서울시의 부동산의 가격이 전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을 감안하면, 이들
부채의 대부분은 부동산으로부터 연유했을 가능성이 높은데요.
높은 부채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시민이 많은 건 비단 서울시뿐만 아닙니다. 서울시를 포함해, 지난해 전국의 가구순자산은 감소하는 모양새입니다. 가구순자산이란, 가구의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금액으로, 국민의 재정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가구순자산이 적으면 적을수록, 사람들의 경제적 불안성이 심화되어 거시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은데요.
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3’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구순자산은 3억 9,018만 원으로 2022년(4억 2,334만 원)에 비해 3,316만 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가구의 실질 순자산은 2010년 2억 6,705만 원에서 2013~2014년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가, 지난해에 감소한 겁니다.
가치가
고정되어 있는 명목금액도 마찬가지로 2022년 4억 5,602만 원에서 2023년 4억
3,540만 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통계청은 “순자산액의 감소는 2022년에서 2023년 자산(자본+부채) 보유액이 5억 4,772만 원에서 5억 2,727만 원으로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주로 실물자산의 감소에서 기인한다”며, “같은 기간 금융자산은 3.8% 증가한 반면, 실물자산은 5.9% 감소하였으며, 실물자산 중 거주주택의 감소(-10.0%)가 가장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가구순자산을 지역 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의 2023년 가구 순자산액(명목)은 5억 4,154만 원으로, 비수도권(3억
3,250만 원)을 상회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