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31

아모레퍼시픽이 9월 29일부터 10월 3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열린 '2025 세계면세박람회(TFWA World Exhibition & Conference)'에 참가했다.  (사진=아모레퍼시픽)

[증시다트] 아모레퍼시픽, 신제품 확장으로 해외 고성장 전망

▷ 국내 여행객 수요 기반 면세 매출 회복 ▷ 글로벌 신제품 출시·매장 확대 효과로 실적 성장 기대

기획·연재 > 증시다트    |   전희수 기자    |   2025.10.14

지난 9월 5일부터 7일까지 일본 이세탄 백화점에 전시된 바이오팝 제품(사진=바이오팝 코리아)

"바늘 없이 1분 만에 건강체크"...바이오팝, '엘릭서-K' 일본 시장서 호평 속 데뷔

▷바이오팝, 일본 이세탄 백화점에서 엘릭서-K 첫선 ▷"건강관리 문턱 낮춰, 모두가 의료 혜택 누리는 사회 구현할 것"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9.25

바이오팝의 비침습 혈액 측정 기기 엘릭서 모습(사진=바이오팝)

바이오팝, 비침습 혈액 측정 기기 엘릭서로 일본 시장 공략 나서

▷바이오팝, 비침습적 혈액 성분 측정 기기 엘릭서로 일본 헬스케어 시장 본격적 진출 ▷오는 9월 5일부터 7일, 일본 이세탄 백화점에서 첫선 예정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8.27

6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생생 정책] 전 국민 최대 45만 원 '민생회복 소비쿠폰'…누가, 얼마나, 어떻게 쓰나?

▷ 치킨집·카페·편의점 등 사용 가능…지역·계층 따라 추가 지원 ▷ 카드·상품권·선불카드 중 선택…9월 12일까지 신청 마감

기획·연재 > 기획특집    |   이수아 기자    |   2025.07.18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올해 여행 트렌드는 여행 대신 휴식…스테이케이션 열풍 예고

▷올 여름휴가 트렌드는 '편안한 휴식' ▷집이나 근교에서 휴가 보내는 스테이케이션 관심 높아져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5.07.16

신한카드는 ‘더프리뷰서울 2025 with 신한카드(이하 더프리뷰서울)’를 다음달 1일까지 서울역 뒷편에 있는 ‘옛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신한카드

신한카드, 아트페어 ‘더프리뷰서울’ 개최

▷다음달 1일까지...옛 국립극단서 개최 ▷175명 작가의 신작 2000여점 전시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5.29

지난달 23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시 소상공인 힘보탬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서울시 동행마일리지 제도 본격 실시

▷ 현대백화점, 신한은행, 신한카드, 에스오일 등 4개사 참여 ▷ 민간기업 포인트를 서울페이플러스 포인트로 전환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2.03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 8.2% ↑... 대형마트는 침체

▷ 온라인 부문 상승세 부각 ▷ 대형마트 침체, 식품군 제외하면 모두 매출 감소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1.24

(사진 = 연합뉴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하락세... "체감경기 얼어붙고 있다"

▷ 대한상공회의소 올해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조사 결과, 77 기록 ▷ '소비 심리 위축'이 가장 큰 우려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1.17

(왼쪽부터) 이재율 킨텍스 대표와 오병진 한컴라이프케어 대표 (출처=한글과컴퓨터)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위해 한컴라이프케어·킨텍스 ‘맞손’

▷한컴라이프케어, 킨텍스와 지하 주차장전기차 화재 대응 위한 MOU 체결 ▷한컴라이프케어, 킨텍스 제2전시장 지하 주차장에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시범 운영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4.09.26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