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 8.2% ↑... 대형마트는 침체
▷ 온라인 부문 상승세 부각
▷ 대형마트 침체, 식품군 제외하면 모두 매출 감소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국내 주요 유통업체의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2.0%)과 온라인(15.0%) 모두 상승했는데, 오프라인의 경우 대형마트를 제외한 편의점과 백화점 및 준대규모점포의 매출이 늘었다. 온라인은 식품, e-쿠폰, 음식배달, 공연 및 여행티켓 구매 등을 중심으로 15%나 성장했다.
유통업계의 중심은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온라인 매출 비중은 3.3%p 증가한 50.6%를 기록했다. 오프라인은 대형마트와 백화점, 편의점, 준대규모점포 모두 매출비중이 감소했다. 2024년 기준 온오프라인의 매출 증가폭 차이(13%p)는 2023년(1.5%p)에 비해 크게 벌어졌다.
상품군 별로 보면, 소비심리 위축과 해외직구 등의 영향으로 식품, 서비스 및 기타 분야는 매출 비중이 늘었다. 반면, 가전 및 문화, 패션잡화, 아동, 스포츠의 매출비중은 줄어들었다.
오프라인 중, 대형마트의 부진이 특히 눈에 띈다. 식품군(2.3%) 성장에도 불구하고 그를 제외한 비식품군(-7.9%)이 부진했다. 2024년 12월 기준, 대형마트의 전체 매출은 6.6% 줄었는데, 전통의 강점인 식품 분야는 물론 가전 및 문야, 가정생활 등 대부분 품목의 매출이 줄었다.
준대규모점포는 점포수 증가, 집밥 수요 확대, 집근처 소량 구매 증가 추세 등으로 성장세를 유지했다. 편의점은 꾸준한 성장세에 힘입어 2024년 하반기 한 때 매출비중이 백화점을 추월하기도 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