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전용 '배달 및 택배비 지원사업' 실시
▷ 지원금액 최대 30만 원, 1인 1개 사업체만 신청 가능 ▷ 배달 및 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 등은 제외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2.11
“배달앱 상생안, 자영업자 기만하는 조삼모사” 야권·자영업자 반발
▷ 수수료 내리고, 배달비 올리고 ▷ 을지로위원회 "온플법 신속 추진"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필립 기자 | 2024.11.15
"시행이 바람직" Vs "충분치 않아"... 중개수수료 갈등 여전
▷제12차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 개최 ▷배달의민족 및 쿠팡이츠 측 상생협의안 제시 ▷ 합의는 이루어졌으나 의견차 여전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11.15
다가오는 로봇 배달 시대…요기요, 배달앱 최초로 실전 투입
▷요기요, 자율주행 한집배달 서비스 ‘로봇배달’ 정식 런칭 ▷요기요, “송도를 시작으로 다양한 지역에 로봇배달 확대할 것”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9.10
쿠팡이츠, '무료 배달'. '포장 수수료 무료' 정책 효과 톡톡...사용자 수 '역대 최대 '
▶쿠팡이츠 지난 6월 월간 사용자 수 역대 최대치 기록....월간 사용자 수 771만명 ▶쿠팡이츠, 무료배달, 포장수수료 무료 정책 지속 추진...중소상공인 성장 지원 및 상생 강화 도모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7.02
로봇 배달 시대 개막…6월부터 공동주택서 로봇배송 기술 실증
▶공동주택 내 로봇배송 기술 개발 실증 6월부터 시작 ▶성남시, 전국 지자체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달 서비스 시작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5.21
‘무제한 무료 배달’ 효과 컸다…쿠팡이츠, 요기요 제치고 배달앱 2위 등극
▶쿠팡이츠, 요기요 제치고 국내 배달앱 시장 2위 차지 ▶국내 주요 배달 플랫폼 경쟁 가속화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4.02
어르신 1천 명이 버거킹·올리브영 배달한다... 어르신 도보배달 일자리 사업 실시
▷ GS리테일과 '어르신 일자리 동행 업무협약' 체결 ▷ 우선적으로 250명 모집... 1천 명까지 확대 ▷ 도보배달로 가벼운 상품 배송, 스마트워치에 가방까지 제공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3.19
코로나 이후에도 건재한 온라인쇼핑... 7월 거래액 약 19조 원으로 증가세
▷ 온라인쇼핑 및 모바일쇼핑 거래액 각각 2.45%, 4.6% 늘어 ▷ 코로나19 엔데믹 영향으로 '여행 및 관광서비스' 증가폭이 가장 커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9.05
2022년 위생용품 규모 2조... 생산, 수입 모두 전년도보다 증가세
▷ 저출산 고령화 시대 반영... 어린이용 기저귀 공급량 줄고, 성인용 기저귀 늘어 ▷ 배달 시장 주춤에도, 일회용 포크 등의 사용량 여전 ▷ 환경부 '일회용품 줄이기 캠페인'에도 일회용품 컵 공급량 증가세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7.20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