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코로나 이후에도 건재한 온라인쇼핑... 7월 거래액 약 19조 원으로 증가세

▷ 온라인쇼핑 및 모바일쇼핑 거래액 각각 2.45%, 4.6% 늘어
▷ 코로나19 엔데믹 영향으로 '여행 및 관광서비스' 증가폭이 가장 커

입력 : 2023.09.05 17:05 수정 : 2023.09.05 17:15
코로나 이후에도 건재한 온라인쇼핑... 7월 거래액 약 19조 원으로 증가세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의 ‘20237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7월의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총 189.049억 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동월대비 9.15(15,723억 원) 증가했습니다.

 

지난 6월과 비교해도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45%, 모바일쇼핑 거래액이 4.6% 늘면서 코로나19 이후에도 여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형성된 온라인쇼핑에 대한 튼튼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상품군 별로 보면, 서적과 기타서비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스포츠/레저용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상품군에서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여행 및 교통서비스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가장 큰 증가폭을 나타냈습니다.

 

전년동월대비 31.4% 늘어난 5,219억 원의 증가폭을 기록했는데요. /식료품 거래액 증가폭은 15.7% 오른 3,383억 원, 이쿠폰서비스가 28.1% 늘어난 1,612억 원 등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는 모바일쇼핑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내 온라인쇼핑 시장은 컴퓨터 등 온라인으로 쇼핑하는 것보다 핸드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의 비중이 상당합니다. 7월 기준 총 거래액 중 모바일 거래액 비중은 전년도보다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무려 74.5%, 14794억 원 규모인데요.

 

온라인 쇼핑과 유사하게, 모바일쇼핑 거래액 중에서도 여행 및 교통서비스(+2,941억 원), /식료품(+2,217억 원) 등이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의 비중입니다. , 온라인으로 이루어진 거래 환경에서, 소비자들이 모바일쇼핑의 방식으로 어떤 종류의 상품군을 주로 구매했느냐는 겁니다.

 

여기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 건 음식서비스’(98.4%)입니다. 대부분의 배달 서비스가 모바일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으론 아동/유아용품(82.4%), 애완용품(81.8%), 이쿠폰서비스(80.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음식서비스, 즉 배달에 대한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7월 기준 23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규모는 대체로 평이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배달자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는 코로나19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는 듯합니다.

 

전문 트렌드 리서치 기업 오픈서베이의 배달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3’에 따르면, 식당 및 카페에서의 외식이 코로나19 이전인 2020년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전체 외식에서 배달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기준, 39.4%에 달했던 배달 이용 비중이 2023년에는 30.1%10%가까이 감소하며 최근 4년간 가장 낮아진 셈입니다. 오픈서베이는 “10명 중 약 3명은 작년 대비 배달 서비스 이용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배달 서비스 이용이 줄어든 주요 이유로는 높은 배달비와 음식 가격 등이 꼽힌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외식의 방식으로 살펴보면 배달이 차지하는 비중(30.1%)은 식당/카페에서 취식하는 비중(45.5%) 바로 다음으로서, 포장/테이크아웃(24.3%)보다는 높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

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

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

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

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

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

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