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엔데믹 이후 수출 늘어난 '이것'은?

▷마스크 없는 일상 회복 도래...립스틱, 1년 전보다 63.5% 수출 증가
▷보톡스 기업 상반기 매출 역대 최대...대웅제약 상반기 753억원 기록

입력 : 2023.09.04 14:57 수정 : 2023.09.04 15:01
엔데믹 이후 수출 늘어난 '이것'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엔데믹 이후 마스크 없는 일상 회복이 오면서 립스틱 등 관련 상품들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4일 관세청에 따르면 2023년 1~7월 립스틱 등 입술화장품 수출은 1억9800만 달러(약 2610억 원)로 1년 전보다 63.5% 증가하면서 동기간 최대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에 이어 올해는 더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무역수지는 최대였던 작년 실적(1억3000만 달러)을 7개월 만에 따라잡았습니다.

 

올해 수출 중량은 3415t으로 지난해보다 54.5% 늘었습니다. 동기간 역대 최대량입니다. 이는 개당 28g 기준, 약 1억2200만 개로 지난해 수출량(1억4200만 개)의 86%에 해당합니다.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미국, 다음은 일본, 중국 등 순입니다. 올해 7월까지 전 세계 125개국이 한국 입술화장품을 찾으며 역대 최다 국가에 수출했습니다.

 

관세청은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불경기에 저렴하면서 심리적 만족도가 높은 소비로 가성비를 쫓는 '립스틱 효과'가 컸다"며 "한류 열기로 자연스럽게 우수한 우리나라 제품이 관심과 인기를 얻으며 수출 증가 촉매 역할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보튤리늄 톡시(보톡스) 제제를 생산하는 국내 기업들 또한 엔데믹 이후 피부 미용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상반기 매출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은 보툴리늄균이 만드는 신경 독성 단백질로,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피부과 등에서는 주름개선을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며, 치과에서는 이갈이가 심한 환자에게 보톡스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보톡스 제제로 올해 상반기 7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휴젤과 메디톡스는 각각 744억원, 445억원으로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업체 트랜스패런시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보툴리늄 톡신 제제 시장은 지난 2017년 45억2700만 달러(약 5조9824억 원)에서 2026년 87억1870만 달러(약 11조5217억 원)까지 2배 가까이 커질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국내 제약사들은 국내 기업 시장보다도 규모가 큰 해외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입니다. 대웅제약은 보톡스 제제 '나보타'로 해외 시장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나보타'는 국내 유일하게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아 현지 파트너사인 에볼루스를 주축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에볼루스는 지난 6월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에 나보타를 출시했으며, 북미와 유럽에서 판매처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휴젤 또한 하반기 북미로 시장을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휴젤의 '보툴렉스'는 태국, 대만,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 유럽 23개국에 진출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지난 4월에는 호주에서 보툴렉스를 정식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