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이후 수출 늘어난 '이것'은?
▷마스크 없는 일상 회복 도래...립스틱, 1년 전보다 63.5% 수출 증가
▷보톡스 기업 상반기 매출 역대 최대...대웅제약 상반기 753억원 기록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엔데믹 이후 마스크 없는 일상 회복이 오면서 립스틱 등 관련 상품들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4일 관세청에 따르면 2023년 1~7월 립스틱 등 입술화장품 수출은 1억9800만 달러(약 2610억 원)로 1년 전보다 63.5% 증가하면서 동기간 최대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에 이어 올해는 더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무역수지는 최대였던 작년 실적(1억3000만 달러)을 7개월 만에 따라잡았습니다.
올해 수출 중량은 3415t으로 지난해보다 54.5% 늘었습니다. 동기간 역대 최대량입니다. 이는 개당 28g 기준, 약 1억2200만 개로 지난해 수출량(1억4200만 개)의 86%에 해당합니다.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미국, 다음은 일본, 중국 등 순입니다. 올해 7월까지 전 세계 125개국이 한국 입술화장품을 찾으며 역대 최다 국가에 수출했습니다.
관세청은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불경기에 저렴하면서 심리적 만족도가 높은 소비로 가성비를 쫓는 '립스틱 효과'가 컸다"며 "한류 열기로 자연스럽게 우수한 우리나라 제품이 관심과 인기를 얻으며 수출 증가 촉매 역할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보튤리늄 톡시(보톡스) 제제를 생산하는 국내 기업들 또한 엔데믹 이후 피부 미용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상반기 매출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은 보툴리늄균이 만드는 신경 독성 단백질로,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피부과 등에서는 주름개선을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며, 치과에서는 이갈이가 심한 환자에게 보톡스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보톡스 제제로 올해 상반기 7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휴젤과 메디톡스는 각각 744억원, 445억원으로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업체 트랜스패런시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보툴리늄 톡신 제제 시장은 지난 2017년 45억2700만 달러(약 5조9824억 원)에서 2026년 87억1870만 달러(약 11조5217억 원)까지 2배 가까이 커질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국내 제약사들은 국내 기업 시장보다도 규모가 큰 해외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입니다. 대웅제약은 보톡스 제제 '나보타'로 해외 시장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나보타'는 국내 유일하게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아 현지 파트너사인 에볼루스를 주축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에볼루스는 지난 6월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에 나보타를 출시했으며, 북미와 유럽에서 판매처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휴젤 또한 하반기 북미로 시장을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휴젤의 '보툴렉스'는 태국, 대만,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 유럽 23개국에 진출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지난 4월에는 호주에서 보툴렉스를 정식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