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인플레이션에도 선방한 美 소비... "곧 둔화될 것"
▷ 7월 미국 소비, 2023년 1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 나타내
▷ 다만, 자산이 줄어들면서 소비도 곧 경색될 것이란 예측도 있어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소비 지표가 활기를 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NN은 “지난 31일에 발표된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레스토랑과 콘서트, 장난감, 게임 및 레크레이션 장비를 구입하면서 지난달의 소비가 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New Commerce Department data released Thursday showed that consumer spending jumped 0.8% last month as shoppers shelled out for restaurants, live shows, toys, games and recreational equipment”) 며, “이는 1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It’s the strongest monthly spending gain since January”)라고 전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연방준비제도(FOMC)의 목표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미국의 소비자들은 여전히 돈을 사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금리가 올라갈수록 소비가 얼어붙어 경제가 둔화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 셈입니다.
FOMC는 인플레이션을 2% 대로 유지하겠다는 목표 하에 재정 긴축 기조를 유지해왔습니다. 기준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을 일관적으로 지켜온 셈인데, 그 효과를 봤는지 지난 7월의 미국 소비자물가는 다소 안정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개인소비지출지수(The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Index, 일명 PCE)에
따르면, 물가는 월에 0.2%, 연 평균으로는 3.3% 올랐습니다.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음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PCE는 7월 기준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거대 투자은행 레이먼드 제임스(Raymond James)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유지니오 알레만(Eugenio Aleman)은 “이번 발표에서 FOMC에게 가장 좋은 소식은, 소비가 여전히 강력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지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했다는 것”(“For the [Fed], the best news from this release was the relatively large decline in the price index for goods even as goods consumption remained strong”)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요가 늘어나면 시장 원리에 의해서 물가가 올라야 하는데, 이번엔 그렇지 않았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그는 “서비스 소비와 그 물가는 연준의 가장 큰 관심사로 남을 것”이라는 말을 덧붙였습니다. 미국의 서비스 물가가 경제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이것이 금융당국에겐 하나의 골칫거리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인플레이션 상황 속에서도 소비가 늘어나는 현상에 대해 CNN은 “최신 지표는 미국의 소비자가 발랄하고, 경제 성장을 계속해서 견인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The latest data underscores how the US consumer remains resilient and continues to drive economic growth”)고 분석했습니다.
아마존 프라임 데이(Amazon Prime Day) 등, 미국의 소비가 늘어난 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만, 미국 4대 은행 중 하나인 웰스
파고(Wells Fargo)의 경제 분석가 샤논 시리(Shannon
Seery)는 소비자들이 고금리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다만, CNN은 소비의 핵심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자산’에서는 문제점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7월 개인소득은 전월대비 0.2% 증가했는데, 이는 2022년 1월 이후 가장 작은 증가폭입니다. 저축률도 전월 4.3%에서 3.5%로 하락하면서, 2022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 샤논 시리는 “전반적인 지표가 연방준비제도에게
활력을 가져다주고 있지만, 소비는 이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While
the overall data keeps the heat on the Fed, I think the expectation is that
spending will slow from here”)고 이야기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