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면적 감축, 쌀값 안정과 농가소득 안정을 위해서 필요"
▷ 일본 쌀값 폭등에 정부, "우리나라는 쌀 공급과잉이 반복" ▷ 시장 격리에 소요되는 비용 부담... '논'의 형태 유지하면서 재배면축 감축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3.25
불면증에 좋은 '이것'... 꾸준히 하면 '꿀잠' 가능해
▷ 농촌진흥청 조사 결과, '텃밭' 가꾸면 수면의 질 크게 향상 ▷ 불면증 지수가 13.4점에서 텃밭 가꾼 이후 6.8점으로 크게 호전돼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0.24
미생물로 물 절약하고, 신재생에너지로 냉난방하고… “탄소중립 기반 마련”
▷ 미생물 처리하고 10주 동안 물 안 줘도 '정상' ▷ 지열의 단점을 태양광/열로 확보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0.17
현실화된 기후위기... 저탄소 투자가 뜬다
▷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기후위험은 투자자가 고려해야 할 중대 위험요소" ▷ 기후위기에 급변하는 금융시장... 이에 발맞춰 저탄소 투자 포트폴리오 전략적으로 구성해야 ▷ 해외에선 저탄소 투자 활성화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선 소극적
경제 > 증권 | 김영진 기자 | 2023.08.11
전기·가스요금 인상 소식에...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 주가 동시 하락
▷전기요금 3000원, 가스요금 4400원 늘어 ▷한전·가스공사 주가 각각 1.68%, 1.32% 하락
경제 > 증권 | 류으뜸 기자 | 2023.05.15
지난해 농림어업인구 모두 감소... 고령화 현상 심화
▷ 2022년 농림어업인구 모두 감소세... 임가가 4.1%로 가장 크게 감소 ▷ 농가, 어가, 임가 모두 65세 고령인구가 가장 많아 ▷ 정부의 청년농 육성, 수출 지원 방안... 구조 개선에 도움될까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4.19
[위포트] 윤 대통령 양곡법 개정안 통과 거부에 57.14% 지지…반대는 32.14%
위고라 > Weport | 이정원 기자 | 2023.04.18
양곡법 찬성 여론 우세에 비판 나선 윤희숙 전 의원
▷윤희숙 전 의원 양곡법 대안에 대해 비판 쏟아내 ▷윤 전 의원 “형편없는 법에 대한 지지가 높은 것은 내용이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
사회·정치 > 정치 | 이정원 기자 | 2023.04.10
정부, 농업혁신 계획 발표…빛 좋은 개살구?
▷2027년까지 청년농 3만명 육성 등 추진 ▷지원금만 보고 뛰어들었다가 실패한 청년 많아 ▷스마트농업 이끌 기업 없어 회의적인 시각도
사회·정치 > 정치 | 류으뜸 기자 | 2022.10.06
[탐사] 기후위기, 미래가 아닌 현재
▷ 지난 8일 중부지방 집중호우..."기후변화가 이유" ▷ 유럽은 가뭄에 고통, 지구온난화 영향 ▷ 파리기후협약 1년...러-우 침공으로 지체 中
기획·연재 > 기획특집 | 김영진 기자 | 2022.08.30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