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곡법 찬성 여론 우세에 비판 나선 윤희숙 전 의원
▷윤희숙 전 의원 양곡법 대안에 대해 비판 쏟아내
▷윤 전 의원 “형편없는 법에 대한 지지가 높은 것은 내용이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

(출처=페이스북 윤희숙)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이 양곡관리법 찬성 여론이 높은 것을 두고 “이렇게 형편없는 법에 국민들 지지가 높은 것은 ‘내용이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 말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국민의힘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윤 전 의원은 지난 9일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양곡법에 대한 국민 지지가 60%, 대통령 거부권 행사에 찬성하는
국민이 33%로 반대(48%)보다 훨씬 낮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는 “양곡법에 찬성한 응답의 이유는 ‘농가소득 안정을 위해’”라면서 “마음 따뜻한 우리 국민들에게는 ‘남는 쌀 수십만톤을 세금으로 제값에
사서 가축에게 먹인다’는 말도 크게 와닿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들의 걱정은 앞뒤 맥락과 숫자를 가지고 잘 설명하면 금방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 전 의원은 “쌀 소비가 급격히 줄면서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재정의 가장 큰 고민거리가 쌀 보조금이었다”며
“생산을 줄여야 하는데 나라가 쌀값을 다 보장해주고 농사가 기계화돼 편하니 쌀농사가 줄지
않는 것이지요. 미래 농업으로 갈 재원을 다 잡아먹으면서요”라고
주장했습니다.
윤 전 의원은 “십수년 간의 고민 끝에 문재인 정부에 와서야
제도가 개혁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는
“2020년에 고친 제도는 작물이 무엇이건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 그리고 (쌀 가격이 너무 내려가면 정부가 매입하겠지만) 조금의 위험은 농가가 지게끔 해서 타작물로 전환할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라면서
“그런 용기를 낼 수 있었던 것은 근래 다양한 지원금으로 농가소득이 많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민주당의 양곡법은 문재인 정부의 바로 그
성과를 쓰레기통에 던져넣는 것”이라며 “나라가
겨우 한발자국 앞으로 내딛었던 것을 다시 과거로 되돌리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윤 전 의원은 조수진 최고위원의 ‘밥 한 공기 다 먹기 운동’ 발언을 두고 “여당 최고위원이 ‘쌀 수요를 인위적으로 늘리면 된다, 여성들 다이어트 때문이다’하며 신중하지 못한 발언을 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윤 전의원은 여당의 대응에도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그는 “응당 국정의 책임을 진 여당의 일원이라면 희화화될 위험에 처한 양곡법 이슈를 구해내는 데 전력했어야 했다”면서 “실언을 비판하면서도 이슈에 대한 진지한
설명이 우선이다. 그러나 평소의 좋지 않은 감정이 있었던지 한 파벌이 일제히 들고 일어나 그 발언을
조롱하며 이슈를 더 희화화시켰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전 의원은 “이쯤 되면 양곡법 여론이 나쁜 것도 당연하다”면서 “악법이 줄줄이 대기 중인데,
정책 프레임 전쟁에서 밀리면 제대로 공부하고, 전략을 다시 정비하고, 활발히 소통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 아닌가. 대통령 거부권에만 기대면서
정부와 당의 정당성을 깎아먹기만 할 작정인가”라고 날선 비판을 가했습니다.
한편 양곡법 대안인 ‘밥 한 공기 다 먹기 운동’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는 “양곡관리법을 반대하면서 그대안이
‘밥 한 공기 다 비우기 운동을 하자’라고 한다면 이걸 가지고
대안 경쟁을 할 수 있겠냐?”라며 “갈수록
태산”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도 “그게 무슨 대책이 되겠냐”라며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이어야 하는데 본인이 그런 뜻으로 말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