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정부, 농업혁신 계획 발표…빛 좋은 개살구?

▷2027년까지 청년농 3만명 육성 등 추진
▷지원금만 보고 뛰어들었다가 실패한 청년 많아
▷스마트농업 이끌 기업 없어 회의적인 시각도

입력 : 2022.10.06 14:30 수정 : 2022.10.06 15:13
정부, 농업혁신 계획 발표…빛 좋은 개살구? (출처=대통령실)
 

 

정부가 청년농 육성을 위한 대대적인 농업혁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숫자 늘리기에만 매달릴 경우 정책이 빛 좋은 개살구에 그칠 거라는 지적과 함께 스마트농업에 대한 실효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관계부처와 함께 마련한 농업혁신 및 경영안정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농림부는 2017년까지 농업의 미래를 이끌 청년농 3만명을 길러내고 원예시설축사 30%를 스마트 설비로 전환하는 등 대대적인 농업혁신을 추진합니다.

 

우선 청년층이 창업과 정착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대상과 금액을 늘립니다. 청년농이 원하는 농지를 30년간 빌려 농사를 지은 뒤 매입할 수 있도록 '()임대-()매도' 제도를 내년 도입합니다. 임대형 스마트팜과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청년농스타트업단지도 내년부터 조성할 예정입니다.

 

청년농 금융부담을 줄이기 위해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사업 융자금 상환기간을 15년에서 25년으로 늘려주고 금리를 2%에서 1.5%로 인하합니다. 농촌 정착민에게 주택·돌봄·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권 400곳을 구축하고 청년보금자리주택 조성도 확대합니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기존 온실·축사 30%를 환경제어·데이터 관리 등이 가능한 스마트 시설로 전환합니다.

 

#단순 지원만으로 청년농 육성 어려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하지만 정부가 단순한 금전적 지원에만 매달려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원금과 장기 대출을 보고 농업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하는 청년들이 생겨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와 지자체 모두 역귀농∙귀촌 인구 수를 파악하지 않아 정확한 통계를 파악하긴 어렵지만 귀농 관련 단체에서는 역귀농 인구를 30%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은영 한국4-H본부 사무부총장은 단기 지원금과 대출만 보고 귀농 또는 귀촌을 선택했다가 실패하고 역귀농을 택한 청년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농대생을 비롯해 진로 설정을 앞둔 청년들이 교육과정 안에서 농업 관련한 활동을 직접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시스템을 우선 갖춰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천정부지로 뛰는 땅값도 청년농 등이 농촌으로 유입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국회 농립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이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6월 기준 1㎡당 농지 실거래가는 74689원으로 2021년 대비 두배 가량 상승했습니다. 특히 2020년 한 해에만 21.4%가 치솟았고, 지난해도 18.3% 추가 상승했습니다. 농사를 하려면 적정 면적을 가진 땅을 사야 하는데 그때 투입되는 비용이 상당한 셈입니다.

 

#스마트 농업 이끌 기업 부족해

 

스마트농업 확산과 관련된 정책을 두고도 회의적인 시각이 나옵니다. 현재로서 스마트농업을 주도적으로 이끌 만한 규모 있는 기업이 없기 때문입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스마트농업 관련 기업 744곳 가운데, ‘10인 이하영세 업체는 전체 565(74.8%)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스마트 농업 기술에 대한 농업인의 신뢰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 남기포 농협대학교 교수가 올 20209월 조합원 402명을 대상으로 벌인 스마트농업에 대한 농협 조합원의 인식과 평가 조사결과에 따르면 스마트농업을 도입하지 않는 이유로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23%)’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스마트농업을 이끌 인재 양성과정도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청년층 스마트팜 경영주 비율이 최근 3년간 10% 수준으로 정체된 상황에서 정부가 키우는 스마트팜 창업 보육생 성과도 지지부진합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안병길 국민의힘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식품부의 스마트팜 창업 보육센터 수료생은 지난 20201기 수료생부터 올해 3기까지 총 284명에 불과했습니다. 정부가 초기 목표로 잡은 수료생의 47.3%에 불과한 숫자입니다.

 

안의원은 스마트팜 창업 보육센터가 부실한 사업관리로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