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미생물로 물 절약하고, 신재생에너지로 냉난방하고… “탄소중립 기반 마련”

▷ 미생물 처리하고 10주 동안 물 안 줘도 '정상'
▷ 지열의 단점을 태양광/열로 확보

입력 : 2023.10.17 10:54 수정 : 2023.10.17 11:03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환경부가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해 담수 미생물 처리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매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17일 ㈜수프로와 상호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해, 목본류의 가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담수 미생물 소재를 개발하겠다고 전했는데요.

 

참고로 ㈜수프로는 자연환경복원, 도심벽면 및 해외 녹화 등 수목 생산과 유통을 전문적으로 하는 코넥스 상장 기업으로, GS에너지와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 NBS)의 탄소배출권 사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을 주력으로 삼은 기업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환경부의 이번 사업의 중심에는 리시니바실러스 미생물(Lysinibacillus sp. TT41)이 있습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이 미생물을 야외에서 키운 목본류에 처리한 뒤, 10주간 물을 주지 않는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생존의 필수 요소인 물이 공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목본류의 광합성 활성과 상대수분함량이 정상군 수준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광합성 활성이 95%, 평균 상대수분함량이 88%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했으며, 스트레스 반응 물질도 62% 적게 생성되었는데요.

 

리시니바실러스 미생물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수프로와 업무협약을 통해, 식물 환경 스트레스 경감 및 탄소저감 효율 증진 기술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수프로는 향후 기술이전 등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양묘 및 조림사업에서 물 부족 및 물/에너지 비용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번 담수 미생물 처리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미생물을 통한 물 절약효과입니다. 정남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이번 연구에 쓰인 담수 미생물을 밭 용수 사용량을 5% 줄이면 연간 1.6억 톤(379억 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효과적인 탄소배출권 확보에 유용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는데요.

 

만약 미생물을 통해 밭 용수 사용량을 10%까지 줄이면 32.5억 톤의 물을 절약할 수 있고, 그 경제적 효과는 759억 원까지 불어납니다. 절감율이 20%에 달하면 용수 절감량이 65억 톤, 1,519억 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태양광/열 + 지열... 농촌 냉난방에너지 확보

 

농촌진흥청은 태양광/(PVT) 패널과 지열을 결합한 복합열원 히트펌프 온실 냉난방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온실 면적의 10% 부지에 설치한 태양광/열 패널에서 발생하는 30~40도의 태양열과 지중열교환기에서 얻는 지열을 하나의 열 저장조에 모은 후, 이를 히트펌프에 열원으로 사용하는 겁니다.

 

48~50도 사이의 온수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요. 쉽게 말해, 태양에너지와 땅으로부터 나오는 열을 합쳐 농촌에서 사용할 에너지를 확보하는 기술입니다. 현재까지 농촌에선 지열을 난방을 위해 많이 사용했습니다만, 지열은 에너지의 특성상 오래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그 대안으로 사용되는 유류 난방기는 탄소중립에 부적절할 뿐더러, 난방비 부담도 적지 않았는데요. 농촌진흥청이 이러한 지열의 단점을 태양광/열로 보완한 셈입니다.

 

복합열원 히트펌프 온실 냉난방 기술을 딸기(설향) 온실에 적용한 결과, 면세 등유 대비 냉난방 비용이 78%까지 줄어들었습니다. 아울러, 온실 면적의 10% 부지에 태양광/열 패널을 설치했을 경우, 온실 난방에 필요한 전체 열량의 30%를 분담할 수 있었으며, 지열만 이용했을 때보다 에너지를 20%까지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농촌진흥청이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연간 10a8백만 원의 수익액을 거둘 수 있어 4.4년 이내에 설비에 소모한 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유인호 농촌진흥청 에너지환경공학과 과장 曰 농사용 전기 가격이 올라 농가 경영에 커다란 부담이 되고 있다. 태양광/열과 지열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농가 경영비 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탄소중립 실현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길 바란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