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열풍"...민관, 해상풍력단지 구축 나선다
▷포스코인터내셔설, 노르웨이 손잡고 울산 연안 해상풍력발전단지 구축
▷"재생에너지 확보와 개발에 본격 진출하는 계기 마련할 것"
▷충남 태안군, 해상풍력단지 조성 총력...1.96GW 설비 조성 목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전세계 친환경 열풍이 여전한 가운데, 민관이 해상풍력발전단지 구축에 나서고 있습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노르웨이 종합 에너지기업 에퀴노르와 해상풍력, 저탄소 수소·암모니아, 액화천연가스(LNG) 등 친환경 분야 사업에 협력하기로 하면서 '친환경 분야 포괄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이에따라 양사는 이번 MOU에 따라 해상풍력 사업과 저탄소 수소·암모니아 사업 공동개발에 협력합니다. 강재 공급망 구축과 LNG 사업 분야 협력도 구체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포스코인터내셔설은 에퀴노르와 '반딧불이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우선 추진합니다.
울산시 연안 70km 해상에 15메가와트(㎿)급 풍력발전기 50기를 설치해 총 750㎿ 규모의 세계 최대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부유식 해상풍력의 경우 연안에 설치되는 고정식 해상풍력보다 어업 활동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해상에 설치했기 때문에 바람의 막힘이 없어 상대적으로 균일한 풍속으로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전혁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부문장은 "이번 MOU를 통해 글로벌 선진기업과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하는 등 재생에너지 확보와 개발에 본격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며 "저탄소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 분야에서도 포괄적 협력을 이어가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생태계를 꾸준히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충남 태안군도 석탄화력반전소의 단계적 폐쇄 및 기휘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군에 따르면, 민선7기 1개 단지 갭발로 첫 밑그림을 그린 태안군 해상풍력 단지 개발은 민선8기 들어 구체화되고 규모도 확장돼 현재 태안·가의·서해·안면·학암포 등 5개 단지 약 1.96GW의 설비 조성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산업통산자원부 공모 선정으로 43억 5000만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현재 해상풍력 예정 입지 발굴과 인허가 협의를 위한 용역을 추진 중입니다. 사전타당성 조사, 국방부 작전성 협의를 위한 전파영향 분석 등이 진행되며 내년 상반기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정부는 2036년까지 전국 석탁화력반전소 59기 중 28기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고 태양광 풍력발전 비율을 87:13에서 60:40으로 조정키로 하는 등 풍력발전 확대에 나서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에 충남도와 태안군은 2021년부터 선탁화력 발전소 폐쇄에 대응코자 '정의로운 전환기금'을 공동 조성했으며, 군은 기금 일부를 활용해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검토 중입니다. 태안화력 1~6호기 폐쇄 시 직원 900명과 그 가족 등 3000여 명의 인구가 감소될 것으로 보고 '정의로운 전환기금' 활용 사업과 더불어 해상풍력단지 개발로 지역 생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