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포트] 윤 대통령 양곡법 개정안 통과 거부에 57.14% 지지…반대는 32.14%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위즈경제가 ‘윤 대통령 ‘1호 거부권’ 행사, 양곡법 두고 여야 날선 공방’이란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 결과, 양곡법 개정안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지지한다는 의견이 57.14%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32.14%, 중립 의견은 10.71%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지난 4월 4일부터 4월 18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56명이
참여했습니다.
#양곡법 개정안 통과는 세금 낭비로 이어질 수 있어
위고라 참여자 57.14%는 양곡법 개정안이 통과됐을 경우, 무의미한 세금이 낭비될 소지가 있다면서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여자 A는 “초과생산된
걸 굳이 나라가 사들여야 되는 이유가 뭐냐”면서 “이는 세금 낭비”라고 말했습니다. 참여자
B는 “(양곡법 개정안 통과로) 나라 제정에 문제가 생기면 결국 농민들에게 가던 지원도 끝기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양곡법 개정안이 쌀을 제외한 타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와의 형평성을 무너뜨린다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참여자 C는 “참외
농사하다가 다 못팔면 구제해주는 제도가 있냐”면서 “양곡법
제도가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는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국내 쌀 자급률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양곡법이 필요하다
반면 참여자 32.14%는 국내 쌀 자급률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선 양곡법 개정안 통과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참여자 D는 “우리나라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데 지금 쌀 자급률은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지고 있다”면서 “이대로 가다간 곧 쌀 산업이 붕괴할지도 모르고 이는 식량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참여자 E 역시 “한국을
제외한 선진국 대부분의 식량 자급률이 100%에 가깝다”면서
“한국은 20%밖에 안되고 양곡법은 식량안보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다”라고 했습니다.
이외에도 “기후위기가 심화되면 식량위기는 자연스럽게 따라올
수밖에 없는데 (정부도) 그에 대한 해결책을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농민들에게
판에 박힌 명분말고 납득할 대책을 제시하는 게 정부가 할 일이다. 별다른 대책없이 거부권만 행사하니
반발이 심할 수밖에 없다” 등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한편 중립의견으로는 “농민도 먹고 살아야 하고, 정부도 남아도는 쌀을 언제까지 쌓아만 둘 수 없다. 그렇다면 장기적으로
벼농사하는 농민들에게 고소득의 대체 작물을 경작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거라 본다”,
“앞으로 식량을 무기화한 식량 전쟁이 벌어질텐데,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하고 다른 농작물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이번 토론을 통해 양곡법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양곡법 개정안 통과가 혈세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국민적인 우려와 불안감이 크다는 점에서 이번 정부의 조치는 적절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반대 측의 반발도 적지 않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국내 쌀 소비량은 매년 줄어드는 추세이고, 쌀
가격도 지난해 45년 만에 최대치로 폭락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후위기 등으로 인한 식량안보 문제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 정치권에서는 양곡법을 두고 갈등할 것이 아니라 토론을 통해 합의점을 도출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